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구독경제에 힘 쏟는 카드사💳 OTT 넘어 생필품 정기배송·자동차 렌탈… 다양한 할인 혜택으로 승부 현대카드, 12가지 서비스 패키지 내놔 KB·삼성, 정수기 요금 깎아줘 [경제/경영] 내년 말쯤 해외여행 정상화🛫 유럽연합 6월 백신 여권 도입 아시아 백신접종률 한자릿수 ‘걸림돌’ [경제/경영] 30인 미만 '주 60시간' 허용한다지만…💦 8시간 더 늘려줘도 인건비 부담 근로시간 적은 곳으로 빠져나가 [경제/경영] 정부 공기관, 가상화폐에 500억 간접투자💰 국민에겐 "투자자 보호 안된다 하지말라" 경고 [경제/경영] 韓, 소득세율 최고 49.5%로…OECD 평균 넘어 2010년 후 인상 속도 세계 최고 [경제/경영] 선진국들 업종별 근로시간 차등 프랑스, 초과 근로시간 모았다 사용 미국, 화이트칼라 주40시간 예외 EU, 노동자 원하면 초과 근무 [경제/경영] 불면증, 디지털로 잡는다 코로나 스트레스에 수면질환 증가 디지털기기 접목 치료제 봇물 [경제/경영] 韓, 48만개 일자리 전기차 쇼크에 위태로워 판매·조립분야 일자리 타격 [사회/문화] 지난해 최고령 재혼은 98세 60세 이상 황혼재혼 꾸준히 증가 10년 증가율 여성이 남성의 3.7배 [사회/문화] 韓 다문화 포용 낙제점 차별에 멍드는 다문화 2세들 이방인 취급 거리두기에 상처 "취업때 유학생으로 여겨 당황" 초코파이 신화 오리온, 한국보다 중국에서 더 잘나간다 오리온은 중국 진출 성공 사례에 빠질 수 없는 기업으로 손꼽힌다. 초코파이를 비롯, 다양한 제과 제품을 중국 현지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고 사업을 확장해나가며 중국 법인에서만 연매출 1조원 이상을 벌어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국내 매출 7,600억원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오리온이 다른 국내 제과기업보다 중국 시장에서 성공을 이룰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일까? 중국 진출 30년 , 기술력과 품질로 승부 오리온은 1997년 중국 현지 공장을 구축하고 중국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후 상하이, 광저우 등에 공장을 추가로 확보하는 등 매년 성장세를 이어왔다. 사드 보복으로 인해 잠시 주춤했지만 최근 또 다시 중국 내수시장이 활성화되면서 또 다시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최고의 인기상품은 초코파이다. 초코파이는 중국에서만 연 2,000억원 치가 팔려나갈 정도다. 초콜릿을 묻힌 동그란 모양의 이 빵은 보기에는 단순해보이지만 오리온의 기술이 집약되어 있는 상품이다. 초코파이는 내부의 빵과 마시멜로의 촉촉함을 유지하기 위해 수분을 적절히 함유해야했지만 수분함량이 높은 만큼 부패에 대한 위험이 있었다. 오리온은 실험을 거쳐 유통기한을 늘리면서도 맛있고 촉촉한 빵을 만들 수 있는 가장 최적의 레시피를 찾아냈고 곧 상품화했다. 중국 식품 파동 속에서도 굳건 이 같은 노력과 함께 품질을 높이는 데에도 공을 들였다. 최고의 맛은 최고의 품질에서 온다는 철학으로 값비싼 원료를 고집하고 함량도 크게 늘렸다. 이러한 철학 덕분에 오리온은 중국의 식품 파동 속에서 굳건히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 하지만 위기도 있었다. 중국 진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초코파이 10만 개가 더운 날씨로 인해 모두 녹아버리는 일이 발생한 것이다. 오리온 측은 이미 도매상에 판매한 제품까지 모두 수거해 불에 태워버렸다. 이는 오리온의 품질주의를 가장 잘 나타낸 유명한 일화다. 철저한 현지화로 중국인 입맛 사로잡다 오리온의 성공적인 진출은 철저한 현지화에 의해 만들어졌다. 먼저 중국인들이 좋아할 만한 맛을 만들기 위해 식품연구소를 설립했다. 중국인들의 입맛에 특화된 시즈닝을 선보이고 반죽 배합을 다르게 하는 등 대중성을 잡기 위해서다. 중국 시장에서 어느정도 궤도에 오른 후에는 중국 법인을 한국 본사로 독립시켜 현지화에 더욱 힘을 실어주었다. 초코파이는 기존 한국 상품의 포장지에 적힌 ‘정’ 대신 중국인들의 정서에 맞춰 ‘인’을 표기하기도 했다. 초코파이 뿐아니라 고래밥, 예감 등의 인기 제품도 중국인들의 정서에 맞게끔 리브랜딩했다. 최근 중국에서 건강식과 간편대용식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오리온도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김스낵, 닥터유 견과류 바 같은 신제품을 잇따라 출시해 제과 시장뿐 아니라 대용식 시장까지 영역을 확대하는 한편 생수 시장에도 진출한다고 발표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