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추석 앞두고 식품 물가 상승 [경제/경영] 해외주식
보유액 증가, 1년 새 50%▲ [경제/경영] 아시아 증시 일제히 하락 [경제/경영] 코로나로
인한 백신시장 폭발적 성장 [경제/경영] 농장의 첨단발전 [경제/경영] 농장의 첨단발전 [경제/경영] 늘어난 정부 차입금 의존도 [경제/경영] 젊은 꼰대들이 된 3040 [경제/경영] 젊은 꼰대들이 된 3040 [경제/경영] 가전 브랜드 1위 달성 LG [경제/경영] 역발상에 환호하는 2030 [경제/경영] 광공업, 기계장비 부진 [경제/경영] 우주산업 사회적 관심 고조 [경제/경영] 내년 7월 피부양자 자격 강화 예정 [경제/경영] 文정부, 예산 200조 늘어 [사회/문화] 소방구급대원 건강상태, 비상 [사회/문화] 소방구급대원들의 수면장애 [사회/문화] 소방구급대원들의 우울증 [사회/문화] 소방구급대원들의 번아웃 [정치/행정] 흔들리는 윤석열, 홍준표의 맹추격 실리콘밸리의 시작과 전설, 휴렛&팩커드 오늘 날 IT 스타트업의 메카로 유명한 실리콘밸리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실리콘밸리의 시초가 된 곳은 팔로알토의 작은 차고에서 시작됐다. 그 곳에서 노트북, 프린터기 등으로 유명한 HP가 탄생했다. 스탠포드가 배출한 인재들 현재는 전 세계적인 IT 기업들이 즐비한 실리콘밸리지만 1930년 대에는 지금의 모습과 사뭇 달랐다. 실리콘밸리가 위치한 미국 서부에는 명문대학교인 스탠포드 대학교가 위치하고 있지만 당시 미국 서부에서는 좋은 일자리를 구하기가 어려웠다. 그만큼 좋은 회사가 없었기 때문이다. 취업 고민은 HP의 창업자이자 당시 스탠포드 대학교에 재학 중이었던 휴렛와 팩커드도 마찬가지였다. 둘은 스탠포드 대학교 기계공학과를 전공하면서 친구가 됐다. 이러한 고민은 학생들 뿐만이 아니라 스탠포드의 교수들에게도 있었는데, 휴렛과 팩커드의 지도교수였던 터먼 박사는 스탠포드를 출신의 인재들이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는 것에 대해 큰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터먼 박사는 연구소를 조성하는 한편 학생들에게 창업을 권했는데, 그 중에는 휴렛과 팩커드도 있었다. 1938년 휴렛과 팩커드는 팩커드 부부가 살던 집의 차고에 사무실을 만들어 창업에 뛰어들었다. 터먼 교수 역시 이들의 창업에 열정적으로 지원했고 결국 첫 시제품을 만들어냈다. 당시 첫 제품은 오디오의 주파수를 생성하는 테스트 장비로 영화사들의 사운드 엔지니어들이 해당 제품을 구매해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이름을 알렸다. 실리콘밸리의 시초이자 정신이 되다 점차 회사의 면모를 갖춰가기 시작하자 휴렛과 팩커드는 회사명을 정해야했다. 사명을 정하는 데에도 재밌는 사연이 있다. 휴렛팩커드 혹은 팩커드휴렛 둘 중 하나를 놓고 둘은 동전 던지기를 했다. 팩커드가 승리했으나 팩커드는 휴렛팩커드를 더 마음에 들어해 지금의 HP(휴렛팩커드)가 되었다. 이후 HP는 군수장비로 영역을 확대한 뒤 빠르게 성장했다. HP의 성공을 본 IT기업들은 점차 실리콘밸리에 터전을 잡기 시작했고 팔로알토는 점차 IT기업들의 성지로 변모했다. HP가 실리콘밸리에 미친 영향은 이 뿐만이 아니다. HP가 구축한 수평적인 기업 문화는 실리콘밸리에 들어온 수많은 IT기업들에게 귀감이 되었으며 지금까지도 HP의 정신이 실리콘밸리에 남아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