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샤넬백보다 더 있어 보여요", 그림에 지갑여는 MZ세대🖼 100만~200만원으로 누리는 행복 개성 중시 세대 "이게 왜 낭비죠" SNS로 취향과시, 아트테크까지 연예인 미술 애호도 대중화 한몫 세계 미술품 큰손 절반도 MZ세대 [경제/경영] 年6%씩 커가는 CMO 산업, 대기업·제약사 줄줄이 뛰어들어💊 SK팜테코, 프랑스 업체 인수 바이오 계열사 없는 롯데도 벤처 ‘엔지켐생명과학’ 인수 추진 고령화로 의약품 수요 계속 증가 [경제/경영] IMF, 한국 나랏빚 증가속도 세계 1위💨 1인당 총부채는 1억 육박 "2026년 韓 부채비율 GDP의 69% 주요 35개국 중 최고수준 전망" 정부·한은 "민간부문 합친 빚 작년 10.3% 증가한 5070조원" [경제/경영] 정부, "부동산 세금 낮다"…실제론 OECD 37개국 중 3위🏠 주택 재산세·종부세 등 부담 한국보다 높은 곳은 英·佛 뿐 증가 속도만 보면 압도적 1등 [경제/경영] '수퍼로또' LH공공택지, 절반은 5개 건설사 싹쓸이했다🏗 최근 21개월치 분석 결과 80개 중 38개 수백대 1 경쟁률 속 5개 건설사가 차지 우미·호반·중흥·제일·라인건설 순 '벌떼 입찰'막겠다 했지만 쏠림 더 심해 [경제/경영] 1달러짜리 칩 동나자… 현대차는 공장 스톱, 한국GM은 감산⛔ 한국 기업들, 메모리 반도체보다 수익성 떨어지는 車반도체 외면 전문가들 "개발·양산에 최소 5년, 자율주행차 시대 오면 더 걱정" [사회/문화] 연 600억 들이고도, 혁신학교 성적은 지지부진🏫 2009년 13곳서 올 2165곳 급등 11년간 세금만 총 4000억 투입 혁신고 서울대 합격 학교당 0.38명 일반고의 3분의 1 수준에 그쳐 [국제/관계] 달러 패권 넘보지 말라… 바이든, 중국 디지털 위안화에 '칼' 빼나💵 '현금없는 사회' 속도내는 中 올림픽 전 법정화폐로 인정 추진 위안화 거래 '걸음마' 수준이지만 이란·베네수엘라 결제 통화로 활용 美 "제재 회피수단 악용 가능성" [국제/관계] 미국이 압박해도…14억 인구 중국 과학굴기의 무서운 행진🔬 화성·달 탐사, 핵융합·인공지능… 중국 과학기술 다방면서 급발전 중국은 잘하는 기관에 우선 투자 “한국은 분배 중심 R&D 정책” 게임 특화 채팅앱에서 업무용, 일반 채팅앱으로 변모한 디스코드 디스코드는 게임 안에서 유저들 간 소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채팅 앱이다. 여러 유저가 팀을 이뤄 진행하는 리그오브레전드, 오버워치 같은 온라인 게임을 할 때 주로 사용된다. 2015년 서비스를 시작해 게임 유저들 사이에서는 필수앱으로 자리매김했다. 팬데믹 영향으로 사용자 급증 디스코드가 최근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급격한 성장을 이뤄냈다. 게임이라는 특정 분야를 공략해 설계되었지만 팬데믹의 영향으로 재택근무가 늘어나자 업무용 메신저로 디스코드를 사용하는 사람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업무용 메신저를 대체하며 사용자가 늘어나기 시작하더니 친목이나 온라인 강좌를 위해 디스코드를 사용하는 사람들까지 유입되기 시작했다. 5개월 만에 기업가치는 두 배 이상으로 뛰어올랐고, 사용자는 3억명을 돌파했다. 코로나 팬데믹이 본격화된 지난해 매출은 1,500억원에 달한다. 게임에서 주목받았지만 점차 업무용 수요 확보 디스코드는 게임 분야에 특화되어 있는 만큼 음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문자, 영상들도 주고 받을 수 있어 마치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 앱처럼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화상 통화, 파일 전송, 멘션, 역할 지정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여 업무용으로도 활용도가 높다. 애초에 업무용 메신저인 슬랙을 벤치마킹해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디스코드는 주로 고사양 게임과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퍼포먼스도 뛰어나다. 동시에 약 99명의 참여자가 음성 채팅을 할 수 있고 여러 명의 참여자가 채팅에 참여해도 음질이나 속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게다가 무료이기까지 하다. 이 같은 장점을 바탕으로 게이머들 뿐아니라 재택 근무 및 일상 채팅 앱 수요까지 유입되면서 하루 활성 사용자 수 1,400만명을 달성했다. 이는 업무용 메신저 시장 점유율 1위인 슬랙과 비슷한 수치다. 사용자층 확대에 서비스 정체성 변경 후 본격적인 확장 업무용 메신저로서 각광을 받기 시작한 뒤, 사용자층은 더욱 확대되기 시작했다. 교사들은 디스코드를 통해 온라인 강의를 했고 학생들은 디스코드에서 친구들과 함께 과제를 하기도, 토론을 하기도 했다. 많은 사람들이 디스코드를 통해 친구와 일상대화를 했고 화면을 공유해 함께 영상을 시청하는 등 디스코드는 점차 대중적인 채팅앱으로 변모했다. 이러한 변화 디스코드는 ’게이머를 위한 채팅’이라는 기업 정체성을 ‘당신이 대화할 수 있는 곳’으로 변경하고 꾸준히 기능을 업데이트 했다. 그 결과 올 초 디스코드는 페이스북 다음으로 많이 사용한 앱으로 선정되었고 MS와 인수합병까지 추진하고 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