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산업의 발전으로 도로 위에서 전기차를 쉽게 볼 수 있게 됐다. 전기차 보급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도 덩달아 많이 설치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전기차 충전을 위한 인프라 조성을 위해 그린뉴딜, 미래차 전략을 발표하고 시장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전기차 완속, 급속 충전기 전문 제조기업
2014년 설립된 클린일렉스는 전기차 충전기 제조 전문기업이다. 다른 기업들보다 다소 늦은 후발주자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국내에서 완속충전기 제조 분야 1,2위를 다투는 선두주자다. 본격적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구축되기 시작한 지난 2017부터 2018년까지 완속충전기 8,000여 대를 납품한 클린일룩스는 당시 국내 시장점유율 35%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정부 주도의 충전기 보급사업에 적극 참여하여 누적 2만 대의 완속, 급속 충전기를 생산했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그린뉴딜 정책에 의하면 향후 5년 내에 전국 51만여 대의 전기차 완속, 급속 충전기가 설치될 예정이다. 그에따라 클린일렉스의 성장폭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통신 전문가, 전기차 충전 시장에 뛰어들다
클린일렉스를 설립한 이효영 대표는 통신 대기업 출신으로 통신, 전기차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졌다. 25년 간의 근무경력을 바탕으로 연구개발 중심의 기술 창업에 도전해 전기차 충전 전문기업 클린일렉스는 설립했다. 기존 1시간 30분 이상 걸리던 충전시간을 20분으로 단축했으며 2채널을 적용해 동시에 두 개의 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를 개발하는 데에 성공했다. 이 같은 실적으로 한국전력을 시작으로 환경부, LH 등에 제품을 납품하며 전기차 완속충전기 최대 공급사가 됐다. 전기차 충전 시장의 요구에 대응해 현재는 더 높은 용량과 빠른 충전속도를 구현하기 위해 기술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사물인터넷 활용한 인프라 개선
충전기 제조뿐 아니라 충전 공유 서비스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 충전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충전 후 온라인 결제까지 원스톱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별도의 디스플레이나 결제단말기 설치가 필요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 클린일렉스 측의 설명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통신 전문가로 이뤄진 클린일렉스의 핵심 개발인력들이 사물인터넷을 활용해 구축한 시스템이다. 다중 충전 시 전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스마트충전도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기술이다. 기존 충전기는 전기차 1대만 충전할 수 있어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충전기를 빼주거나 다른 곳으로 차량을 이동시키지 않으면 다음 차량이 충전을 할 수 없는 구조였다. 이 때문에 아파트에서는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민원이 자주 발생했다. 클린일렉스의 스마트충전 방식은 여러 대의 차량에 7kW의 전력을 실시간으로 분배해줘 동시에 여러 대의 차량을 충전을 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기술이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구축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도 이점이다. 이러한 장점을 토대로 LH와 함께 아파트에 스마트충전 시스템을 설치하는 사업도 전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