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MZ세대 위주로 상장前 투자 확산
[경제/경영] MZ세대 위주로 상장前 투자 확산
[경제/경영] 새해 'CES 2022' 출격 앞둬 [경제/경영] 한국, 증가하는 전력소비 [경제/경영] 총괄원가 반영 근본 조정 필요 [경제/경영] 가전 라이벌의 'OLED 밀월' [경제/경영] '3代'가 쓴 지평막걸리 성공신화 [경제/경영] '어글리 방한화' 전성시대 [경제/경영] 한국전력의 적자, 국민의 부담 [경제/경영] '개방형 혁신' 주목 [경제/경영] 디지털·재택 찾아 전세계 ‘이직 열풍’ [경제/경영] 디지털·재택 찾아 전세계 ‘이직 열풍’ [사회/문화] 올해 누적 장기기증자 419명 그쳐 [사회/문화] 올해 누적 장기기증자 419명 그쳐 [사회/문화] 외국인 유학생의 불법체류 비율 높아 [사회/문화] 외국인 유학생의 불법체류 비율 높아 [사회/문화] 올해도 나타난 `기부천사들` [사회/문화] 올해도 나타난 `기부천사들` 100년 역사 동네막걸리에서 국내 2위 기업으로 성장한 지평주조 1925년 세워진 지평 양조장이 100년에 가까운 시간이 지난 요즘 시대 주목을 받고 있다. 경기 양평군 지평리에 치한 이 양조장은 지평리 전투의 유엔군 작전기지로 활용됐고 고전 드라마 ‘아들과 딸’의 배경이 된 곳이기도 하다. 오랜 역사와 달리 지평리 근방에서만 알려졌있던 지평주조는 최근 MZ세대들의 사랑을 듬뿍받고 있는 막걸리다. 지평 주조의 가치를 알리고자 10년 전만 하더라도 지평막걸리는 지평리 일대 주민들이 자주 마시던 이른바 ‘동네막걸리’였다. 연 매출 2억원 수준으로 양조장은 폐업 직전까지 몰린 상태였다. 그런 지평 양조장의 변화를 가져온 사람은 4대 사장인 김기환 대표다. 금융학부를 졸업한 김 대표는 3대 사장인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 막걸리 사업에 뛰어들었다. 당시 막걸리는 사양산업에 접어들고 있었고 양조장도 사정이 좋지 않아 주위 가족들은 김 대표의 결정에 대해 반대를 하는 목소리가 컸다고한다. 작은 양조장에서 생산되는 흔한 동네막걸리였지만 김 대표에게는 지평막걸이에 대한 자부심이 있었다. 무엇보다 오랜 역사를 이어온 지평막걸리가 시장에서 제대로된 평가도 받지 못한채 이대로 사라지게 된다는 점을 안타깝게 여겼다. 그렇게 4대 사장으로 경영을 맡게된 김 대표는 대대적인 체질개선에 나섰다. 가장 먼저 시작한 일은 들쭉날쭉하던 막걸리의 맛과 품질을 일정하게 만드는 일이었다. 장인의 감에 의존해 생산하던 기존 방식을 버리고 모든 공정을 정량화하고 체계화하기 시작했으며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는 등 현대식 공장을 지어나갔다. 이를 통해 지평막걸리는 대량생산이 가능해졌고 동네막걸리를 넘어 전국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판매될 수 있었다. 전통과 트렌드 사이 젊은 층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탄 지평막걸리는 빠르게 성장했다. 2017년 매출 100억원을 돌파한 데에 이어 지난해에는 300억원을 넘어섰다. 올해는 400억원의 매출을 예상 중이다. 국내 막걸리 업계 2위로 올라서며 막걸리 시장의 성공신화로 떠올랐다. 오랜 역사만큼 전통적인 맛을 놓치지않으면서도 젊은 층을 공략하는 새로운 기획도 꾸준히 시도하고 있다. 지평주조의 첫 레시피와 주조법을 복원해 신제품을 내놓았고 트렌드에 맞춰 스파클링 막걸리도 선보였다. SPC그룹이 운영 중인 햄버거 프랜차이즈와 협업해 막거리쉐이크를 선보이기도 했다. 막걸리는 촌스럽다는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양식, 일식 등 다양한 안주와 페어링하면서 와인잔, 고급 도자기잔을 활용해 제품을 연출하기도 한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