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세계는 지금 유전자 가위 전쟁
[경제/경영] 세계는 지금 유전자 가위 전쟁
[경제/경영] 세계는 지금 유전자 가위 전쟁 [경제/경영] 세계는 지금 유전자 가위 전쟁 [경제/경영] “금리 5%대면 부동산 구매 포기” 응답 78% [경제/경영] “금리 5%대면 부동산 구매 포기” 응답 78% [경제/경영] 반도체 수급난, 1년여가 지난 지금도 회복되지 않아 [경제/경영] 이색과일 찾고 품종 다양화 [경제/경영] 가전도 똑똑해야 살아남는 시대 [경제/경영] 인터넷업계 ‘카카오 vs 네이버’ 경쟁 [경제/경영] 인터넷업계 ‘카카오 vs 네이버’ 경쟁 [경제/경영] 가상화폐가 유망 투자처 3위 [사회/문화] 60세 이상 해외주식 계좌, 1년새 10만→20만개로 [사회/문화] 60세 이상 해외주식 계좌, 1년새 10만→20만개로 [사회/문화] 60세 이상 해외주식 계좌, 1년새 10만→20만개로 [사회/문화] ‘대안주거‘ 1~2인가구용 소형 늘려 보완 [국제/관계] 대만, 미국의 8번째 큰 교역 상대로 부상 [국제/관계] 대만, 미국의 8번째 큰 교역 상대로 부상 누구나 강사가 될 수 있는 오픈 교육 서비스 유데미가 세계 최대 온라인 교육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한 이유 전 세계적으로 가장 성공한 온라인 교육 플랫폼으로 알려진 유데미는 현재 4,400만 명의 수강생을 확보한 업계 1위 서비스다. 최근엔 나스닥 상장에 성공하면서 시가총액 4조 6,000억원의 기업으로 떠올랐다. 유데미는 터키 출신의 창업자가 설립한 오픈 교육 플랫폼이다. 터키의 한 시골 마을에서 자란 에렌 발리에게 선생님은 컴퓨터였다. 인터넷을 통해 독학을 했다는 그는 이후 수학올림피아드에서 수상까지 하면서 온라인 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몸소 체험했다. 그렇게 에렌은 오픈 교육 플랫폼 유데미를 창업하기에 이른다. 사명인 유데미는 당신의 학교(The Academy of You)라는 의미다. 온라인 교육이 생소하던 시절 2011년 첫 강의를 시작한 이후 유데미는 2년 간 100만 명의 수강생을 확보할 수 있었다. 온라인 학습이 생소했던 시기, 단기간에 수 많은 수강생을 모을 수 있었던 이유는 단순했다. 유데미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시장이 활성화되어있지 않던 시기에 시작해 시장을 선점할 수 있었다. 강력한 경쟁사이자 1세대 오픈 교육 플랫폼 유다시티, 코세라보다 빨리 서비스를 런칭했고 실력있는 강사들을 직접 섭외해 영상을 찍어 올리도록 설득하며 컨텐츠를 축적시킬 수 있었다. 어느 정도 강의가 올라오자 수강생도 급격히 늘었다. 누구나 강사가 된다 유명 대학의 교수와 학술적인 주제를 다루는 교세라, IT 관련 강의를 주로하는 유다시티와 달리 유데미는 누구나 강의를 열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경력이나 학위보다는 강사 스스로가 주제를 정하고 강의를 열 수 있으며 강의료까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유데미는 강의에 대한 일정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강의 영상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정도의 역할만 할 뿐이다. 다만, 플랫폼이 익숙하지 않은 강사들은 원할 시 영상 촬영 및 편집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하기도 한다. 덕분에 유데미에는 다양한 강좌가 개설될 수 있었고, 수강생 4,400만명이라는 기록을 세울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강사들이 강좌를 여는 데에는 제한을 크게 두지 않지만, 강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일정의 룰은 제시하고 있다. 수강생으로부터 강의에 대한 평을 하도록 해 낮은 평점을 받은 강의는 퇴출되는 식이다. 강사 스스로가 홍보할 수 있도록 수익배분도 독특하다. 강사가 제공한 링크를 통해 수강생이 강좌를 신청했다면 수강료의 90% 이상을 강사가 가지도록 하여 강사 스스로가 홍보에 박차를 가하도록 했다. 그 밖에 유데미의 홍보나 홈페이지를 통한 노출에 의해 강좌를 신청한 경우에는 최대 50% 수준의 수수료를 유데미가 가져가는 형태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