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20대, 기업 입사 대신 창업에 도전
[경제/경영] 20대, 기업 입사 대신 창업에 도전
[경제/경영] 20대, 기업 입사 대신 창업에 도전 [경제/경영] 대기업·디지털기업 초과세수 수십조원 [경제/경영] 한국 지난달 전 세계 선박발주량 1위 기록 [경제/경영] 버티컬 쇼핑 플랫폼 고공성장 [경제/경영] 두달만에 다시 경기 하락 경고 [경제/경영] 토종 웹브라우저 해외 첫 공략 [경제/경영] NFT 과세 여부, 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의 눈치싸움 [경제/경영] 위기의 주유소 [경제/경영] 위기의 주유소 [경제/경영] 조선업계 "조건없이 합병 승인" [사회/문화] 60세 이상 해외주식 계좌, 1년새 10만→20만개로 [사회/문화] 60세 이상 해외주식 계좌, 1년새 10만→20만개로 [사회/문화] 60세 이상 해외주식 계좌, 1년새 10만→20만개로 [사회/문화] ‘대안주거‘ 1~2인가구용 소형 늘려 보완 [국제/관계] 대만, 미국의 8번째 큰 교역 상대로 부상 [국제/관계] 대만, 미국의 8번째 큰 교역 상대로 부상 발 없는 스타킹으로 전 세계 1위 보정 속옷 기업이 된 스팽스 여성들의 필수 제품으로 손꼽히는 스타킹. 이 스타킹 하나로 억만장자가 된 CEO가 있다. 스팽스의 사라 블레이클리가 그 주인공이다. 최연소 자수성가 여성 억만장자의 타이틀을 달았을 만큼 주목받는 창업자인 블레이클리지만 그는 로스쿨에서 두 번이나 낙방하였고 한 사무기기 회사에서 방문 판매원으로 7년 간 일했던 평범한 사람이었다. 불편한 스타킹에서 고안한 발 없는 스타킹 미국 애틀랜타에 위치한 스팽스는 2000년 설립됐다. 스팽스의 창업자인 블레이클리는 체형 보정을 위해 스타킹의 발목 부분을 잘라 입곤 했는데, 매번 말려 올라가는 스타킹때문에 불편함을 겪었다. 그러던 중 유명 방송인 오프라 윈프리 역시 자신과 같이 스타킹의 발목부분을 잘라 착용한다는 것을 알게 됐고 발 없는 스타킹을 창업 아이템으로 삼았다고 한다. 그렇게 블레이클리는 낮에는 방문 판매원으로 일하고 밤에는 스타킹에 대해 연구하는, 투잡을 시작하게 된다. 호기롭게 제품 개발에 나섰지만 생산 공장을 찾는 것부터가 난관이었다. 대부분 공장 운영자는 남성이었고 그의 말에 대해 전혀 공감하지 못했던 것이다. 숱한 거절과 무시 속에서도 그는 포기하지 않았고 결국 한 공장 운영자를 설득하는 데에 성공했다. 그렇게 2000년 발 없는 스타킹은 세상 밖으로 나오게 된다. 하지만 그의 기대만큼 스팽스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직접 샘플을 보내고 소매점에 영업을 하며 제품을 알렸지만 소위 말하는 대박을 칠 정도는 아니었다. 오프라 윈프리의 선택을 받은 스타킹, 연 매출 1,200억원의 기업이 되다 블레이클리는 창업에 도전하게 된 계기가 된 오프라 윈프리에게 편지와 함께 제품을 보냈고 감사의 인사를 남겼다. 이를 본 오프라 윈프리가 스팽스의 스타킹에 대해 극찬하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이후 2003년 스팽스는 연 매출 1,200억원의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현재는 스타킹을 넘어 여러 제품으로 다각화했고 전 세계 50개국에 수출하는 세계 1위 보정속옷 브랜드로 성장했다. 그동안 상장이나 투자를 받은 적 없는 스팽스는 최근 지분의 절반 가량을 매각했다. 지분 매각 후 블레이클리 CEO는 스팽스의 모든 직원에게 일등석 항공권 두 장과 1,200만원 가량의 보너스를 지급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