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수익 줄고 빚은 눈덩이… 공공기관 경영 더 악화 [경제/경영] 수익 줄고 빚은 눈덩이… 공공기관 경영 더 악화 [경제/경영] 콩으로 만든 훈제연어, 대체 해산물까지 등장 [경제/경영] 콩으로 만든 훈제연어, 대체 해산물까지 등장 [경제/경영]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6년 [경제/경영] 임대차 시장 불안 완화 위한 전세대책 연말께 발표 예상 [경제/경영] 갈길 먼 수소경제 [경제/경영] 최근 3년 쟁의행위 신고 열에 여섯은 택배노조 [경제/경영] 한국의 디지털 경쟁력은 100점 만점에 70.1점 [경제/경영] 메타버스 이어 'NFT 열풍’ [경제/경영] '될성부른' 한국 스타트업에 뭉칫돈 [경제/경영] '될성부른' 한국 스타트업에 뭉칫돈 [경제/경영] 오디오 콘텐츠 각광 [사회/문화] '배짱 분양’ 아파트 규제로 풍선효과 [사회/문화] '배짱 분양’ 아파트 규제로 풍선효과 [사회/문화] 소멸위기 마을들… 다문화가 전면에 [사회/문화] 전국 공립요양병원 치매 병동, 전문인력 태부족 [정치/행정] 20대 여당 지지율 4년새 61%→23% [정치/행정] 20대 여당 지지율 4년새 61%→23% [국제/관계] 미국과 유럽연합,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 분쟁 일단락 배달만 하는 공유주방 NO! 푸드코트와 구내식당까지 아우르는 공유주방 기업 먼슬리키친 공유주방에 푸드코트를 결합해 외식산업에 혁명을 일으킨 먼슬리키친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다른 공유주방 전문기업들이 배달을 중심으로 영업을 이어나간다면 먼슬리키친은 구내 식당 혹은 직장인들이 많이 밀집한 지역의 오피스 빌딩에 입주해 홀 영업까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공유주방에 홀까지 먼슬리키친은 공유주방을 통해 업주의 리스크를 최소화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출 다각화를 통한 상생구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회사의 구내 식당이나 직장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푸드코트에 입점하여 고정 고객을 꾸준히 확보할 수 있으며 홀, 포장, 배달 등 다양한 주문을 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강남, 판교 등 직장인 밀집 지역 총 7곳에 지점을 냈으며 한 기업의 사옥에 구내 식당으로도 입점 예정이다. 구내 식당으로서의 가능성 먼슬리키친은 구내 식당으로서의 장점도 많다. 기존 구내 식당은 업체가 제공하는 식단에 따라 배식이 이뤄지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직원들에게 큰 선택지가 없었다. 하지만 먼슬리키친이 제공하는 구내 식당 서비스는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다. 앱을 통한 빠른 주문도 강점이다. 앱을 통해 구내 식당에 입점한 식당을 선택해 메뉴를 주문해두면 음식이 나오기 전 알람이 울린다. 알람을 보고 식사를 하러가면 되기 때문에 기존 구내 식당처럼 줄을 설 필요도 없다. 맛집편집플랫폼 먼키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도 선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식사 구독서비스도 선보였다. 구독서비스를 사용하면 메뉴에 관계없이 1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연쇄창업가, 틈새시장을 발견하다 먼슬리키친을 창업한 김혁균 대표는 컨설팅 회사를 거쳐 아이리버의 대표를 맡은 바 있다. 이후 패션 쇼핑몰, 건강기능식품 회사를 창업한 경험이 있다. 온라인 사업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외식업체의 디지털 전환에 관심을 가지면서 이 같은 틈새시장을 발굴해낸 것으로 알려졌다. 배달산업의 고도화도 그의 창업에 불씨를 지폈다. 2018년 설립된 먼슬리키친은 휴맥스로부터 5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