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미니스톱, 실적 부진·퀵커머스 못 따라가
[경제/경영] 술자리 줄며 헛개차 판매 '뚝'
[경제/경영] 제조 공장 인프라 재가동되며 생산능력 회복 [경제/경영] 국내 수소연료전지 발전설비, 세계 최초 700㎿ 넘게 구축 [경제/경영] 한국인 기대수명 83.5세 [경제/경영] 중소벤처기업부・삼성전자, 투자기금 업무협약 [경제/경영] 재정지출 개혁 시급한 과제 [경제/경영] 재정지출 개혁 시급한 과제 [경제/경영] 재정지출 개혁 시급한 과제 [경제/경영] 단가 올랐지만 판매 늘어 [경제/경영] 대기업 43곳 재무임원 내년 자금운용전략 설문조사 [경제/경영] 대기업 43곳 재무임원 내년 자금운용전략 설문조사 [사회/문화] 노인 100명당 2명꼴 파킨슨병 [사회/문화] 특정 연령층 가두는 '저수지'효과 [사회/문화] ‘K자형 양극화’가 사회불안 유발 [정치/행정] 상속 주택에 종부세 폭탄, 유예기간 없어 [정치/행정] 바이든, 주한미군 규모 유지 [국제/관계] 아마존, 물류대란 후 대형 인프라투자 성과 위기의 레고가 다시 살아날 수 있었던 이유 명실상부 세계 최고의 장난감 회사인 레고. 현재는 어른, 아이할 것없이 많은 매니아들을 보유한 레고가 한 때 폐업 위기에 처했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당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전략은 바로 핵심사업인 레고 사업에 집중하는 것이었다. 비디오 게임 시장에 긴장, 무리한 사업확장 1958년 레고 블록을 발명한 레고는 1998년 특허가 만료되면서 한 차례 위기를 겪은 바 있다. 다른 기업들이 레고와 비슷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레고의 시장 점유율을 앗아가기 시작한 것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비디오 게임이 어린이 장난감 시장을 장악하기 시작하면서 기존 전통 장난감 기업들의 실적은 더욱 악화됐다. 이에 레고는 변화와 확장을 선택했다. 비디오 게임과 연계한 장난감을 만들고 스타워즈 레고 키트를 출시해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하지만 무리한 확장은 곧 레고를 적자 기업으로 만들었다. 스타워즈 레고 시리즈는 영화의 흥행으로 많은 인기를 거뒀지만 그만큼 라이센스 비용의 부담이 컸고 다른 신사업 부문에서도 큰 실적을 거두지 못했다. 2003년 레고는 결국 파산 직전에 몰렸다. 레고의 핵심가치 이에 구원투수로 나선 것은 레고의 전략 개발 책임자이자 컨설턴트인 크누스토르프다. 그는 36세의 나이에 레고의 CEO가 되어 레고를 정상의 자리에 다시 올려놓은 사람이며 현 레고 회장이다. 그는 사명인 레고의 뜻(덴마크 어로 잘 놀다 ‘leg godt’에서 유래)대로 노는 것에 대해 집중했다. 먼저 신사업을 위해 단종시켰던 시리즈들을 다시 내놓아 해당 시리즈들의 매니아들을 열광시켰다. 전문가나 레고 애호가들을 위한 정교한 레고 조립 시리즈 테크닉을 재출시하고 미취학 아동들을 위한 완구세트 듀플로도 다시 세상밖에 내놨다. 누스토로프는 레고를 자유롭게 조립하고 놀면서 창의성을 키울 수 있다고 판단해 단순히 한 상품을 조립하는 시리즈 물에만 머물지 않고 레고의 확장성에 주목했다. 표준 레고 블록의 비중을 높여 레고가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가치를 소비자들에게 어필하는 데에 더욱 집중했으며 주력 사업이 아닌 사업들은 과감히 정리했다. 이러한 전략 덕분에 레고는 빠르게 회생할 수 있었다. 레고는 2005년부터 흑자전환으로 돌아섰고 성공적인 체질 개선을 통해 매년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당시 정의한 레고의 핵심가치를 통해 레고는 어린이들의 장난감을 넘어서 어른들의 취미생활 영역으로도 확장할 수 있었다. 레고의 사용자들은 레고를 활용해 여러 구조물들을 설계하고 조립하며 커뮤니티를 형성했고 이와 파생된 소프트웨어와 플랫폼들도 나타났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