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50대 직장인은 불편하다?💦 인력관리 패러다임 바꿔야 [경제/경영] 자동차 판매 시장 수요 회복🚗 원자재값 급등으로 자동차 가격 인상 가능성 [경제/경영] 한국 조선사들 2조원 수주🚢 신규 건조된 선박 가격이 올라 [경제/경영] 보험사 가계대출이 늘어나💰 은행권을 겨냥한 강화된 대출 규제 [경제/경영] 기업들은 하반기 수출 위험 전망🚨 코로나19 돌발변수, 원자재 가격, 환율변동 등 [사회/문화] 출생아 수, 매년 최저치 기록👶 인구 위기 대비할 '마지막 10년' 수산물 도매업에서 시작한 얌테이블, 매출 460억원의 온라인 커머스 사업으로 성장하기 까지 식품 스타트업 얌테이블의 창업스토리가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통영 토박이인 얌테이블의 주상현 대표는 통영의 양식장에서 근무하다가 도매 사업을 시작했다. 오프라인에서 주로 수산물을 유통했던 그는 온라인 쇼핑의 확산으로 자연스럽게 온라인 판매를 떠올렸고 서울과 통영을 오가며 온라인 사업을 준비했다. 30대 청년 창업가와 50대 컨설턴트의 만남 온라인 수산물 쇼핑몰 ‘한라산수산’을 오픈한 그는 예상보다 더 많은 주문량에 오프라인 사업을 접고 바로 온라인 사업에 집중했다. 하지만 한라산수산이 얌테이블이 된 건 2017년으로, KPMG의 컨설턴트이자 부사장 출신인 김양환 CSO의 합류부터다. 얌테이블의 창업 전 공동대표를 맡은 김 CSO는 2014년 푸드 큐레이션과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하고 있었는데 이를 한라산수산과 합쳐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수 있겠다고 판단했다. 다년 간 수산업에 종사한 경력과 수산물 온라인 쇼핑몰을 창업한 경험이 있는 30대 청년 창업가 주 대표와 김 CSO의 시너지는 예상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두 사람이 힘을 합쳐 얌테이블을 선보인 지 1년 만에 4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인재를 영입하기 시작했다. 매출도 매년 두 배 이상 상승하면서 지난해 460억원의 매출을 냈다. 현장에서 발견한 사업 아이템 주 대표는 수산업에서 종사하면서 소비자에게 팔리지 못하고 버려지는 수 톤에 달하는 수산물에 대해 늘 안타까운 마음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창업 후 버려지는 수산물을 소비자에게 연결시키고 어부는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데에 골몰했다. 오프라인 채널에 두각을 보이는 수협, 대기업, 대형 가공회사와 달리 스타트업인 얌테이블이 잘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라는 고민 끝에 그는 온라인 커머스에 적합한 유동성과 스피드 경영 방식이라는 답을 내렸다. 그 다음은 당시 마켓컬리, 헬로네이처 등 온라인 커머스에 집중하고 있던 경쟁사들과의 차별점을 찾아내는 것이었다. 세련된 마케팅을 내세우는 마켓컬리, 헬로네이처와 달리 얌테이블은 신선식품의 신선함, 가격 등을 주 무기로 삼았다. 또한 버려지는 수산물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통 과정에서도 변화를 줬다. 기존의 중개인, 도매인, 소매인을 거치는 과정을 획기적으로 줄였고 직접 어민으로부터 수산물을 확보한 후 세척, 손질, 소분화, 반조리, 포장까지 모두 도맡았다. 모든 과정에 관여하기 때문에 원물 수불부터 재고 관리까지 직접 확인, 운영이 가능했다. 또한 유통 비용을 줄여 고객에서 좋은 품질의 수산물을 값싸게 판매할 수 있었고 이는 곧 높은 재구매율로 이어졌다. 이러한 선순환은 또 다시 어민들에게 혜택으로 돌아간다. 얌테이블의 판매력이 커질 수록 안정적으로 수산물을 공급, 거래를 이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B2B부터 얌테이블 자체 상품 생산까지 얌테이블의 매출 성장을 일으키자마자 생산력에 대규모 투자를 강행했다. 2017년 설립된 신생 스타트업임에도 국내에 거제, 통영, 양양, 포항 4 지역에 프로세싱센터(FPC)를 보유하며 하루 많은 양의 수산물을 가공, 유통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다. 가정간편식(HMR)의 수요가 높아지자 가정간편식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던 스타트업 쿠캣, 프레시지와 협업하기도 했다. 또한 얌테이블의 이름을 내건 자체 브랜드(PB) 상품도 선보였다. 작년 6월에는 오프라인 매장을 열며 수산물 밀키트부터 다양한 수산물 관련 상품을 판매하며 판매 채널을 확대하고 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