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LNG 가격 가파르게 치솟아 [경제/경영] LNG 가격 가파르게 치솟아 [경제/경영] LGU+, 디즈니플러스 OTT서비스 제공 [경제/경영] 올해 시장 규모 3조원대 전망 [경제/경영] 고신용자도 '대출난민' 신세 [경제/경영] 자영업자 대출 2분기에 850조원 돌파 [경제/경영] 자영업자 대출 2분기에 850조원 돌파 [경제/경영] 자영업자 대출 2분기에 850조원 돌파 [경제/경영] ‘비주류 문화’ 웹소설 열풍 [경제/경영] 가계·기업 빚 4300조 돌파 [경제/경영] 가계·기업 빚 4300조 돌파 [경제/경영] 금융위원장 ‘대출 강력규제’ 후폭풍 [경제/경영] 생활비 스스로 마련하는 고령자 57.7 [사회/문화] 미세플라스틱의 습격 [사회/문화] 조기유학 크게 줄고 2010년이후 최저 [사회/문화] 조기유학 크게 줄고 2010년이후 최저 [사회/문화] 학생부 공정성 강화로 금지어 늘려 [사회/문화] 추진위 "캐디·소비자 권익보호" [사회/문화] 추진위 "캐디·소비자 권익보호" [국제/관계] 아프간 난민 수용 갈라진 美여론 가상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 앱 헤어핏의 개발사, 버츄어라이브 비대면 시대의 도래이후 가상으로 옷을 입어보거나 헤어스타일을 바꾸는 등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옷과 달리 헤어는 시술을 한 뒤 돌이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주목해 가상 헤어스타일 체험 시뮬레이션 서비스 ‘헤어핏’을 내놓은 스타트업 버츄어라이브가 1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하며 업계에 파란을 일으키고 있다. AR, VR을 뷰티시장에 접목 헤어핏을 개발한 스타트업 버츄어라이브 2016년 창업했다. 버츄어라이브를 창업한 이재열 대표는 삼성전자 출신으로, 당시 삼성전자가 주력으로 하고 있던 AR, VR 사업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가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구상하기 시작했다. 이 대표는 고객들이 직접 시착을 하거나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중요한 패션, 뷰티산업에 AR, VR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으면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했고 헤어핏을 구상하게 됐다. 특히 헤어를 아이템으로 삼게 된 계기는 의상이나 메이크업처럼 실제 체험을 하기가 어려운 분야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정보와 체험을 한꺼번에 헤어핏은 헤어스타일을 바꾸고 싶은 고객들이 시뮬레이션을 하고 또 적합한 헤어디자이너를 연결해주는 O2O 서비스다. 용자가 업로드한 정면 사진을 기반으로 스타일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는데 딥러닝 기반의 시스템이라 어색하지 않게 헤어스타일을 바꾸며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 기존 뷰티 서비스들이 정보를 기반으로 운영되었다면 헤어핏은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체험까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같은 강점을 바탕으로 버츄어라이브는 180만 명의 유저, 그리고 5천명이 넘는 헤어 디자이너 인프라를 확보했따. 타겟 유저의 변경 사업 초에는 헤어 숍에 비치된 태블릿 피씨를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헤어숍으로부터 일정 비용을 받는 식으로 영업을 했지만 다소 생소한 기능때문에 유저들이 서비스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알게됐다. 당시 헤어숍에 방문하지 않아도 머리 모양을 고민하고 눈으로 확인해볼 수 있는 서비스라면 이용해볼 것 같다는 피드백을 받으면서 유저를 헤어숍이 아닌 일반 고객들로 변경하면서 지금의 형태가 됐다. 헤어핏은 헤어 디자이너들의 고민도 덜어주고 있다. 특히 국내 헤어샵 90% 정도가 1인 기업 혹은 영세 자영업자로 구성되어 있어 홍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가 흔하다. 헤어핏은 헤어 디자이너용 앱을 따로 운영하며 고객들과 스타일링과 관련된 소통을 더 원활하게 하도록 도와주고 고객들을 유치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한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