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위드 코로나’에 대한 국민의 생각
[경제/경영] 국내 수소차 시장확대 수소탱크 사업 본격화
[경제/경영] 제2,3의 원신 '수두룩’ 늘어나 [경제/경영] 물산업, 2030년 1조2032억달러 성장 [경제/경영] 물산업, 2030년 1조2032억달러 성장 [경제/경영] 로봇청소기가 필수 신혼 가전 [경제/경영] 커지는 수수료 갈등 [경제/경영] 커지는 수수료 갈등 [경제/경영] 인텔, 車반도체 집중 승부수 [경제/경영] 인텔, 車반도체 집중 승부수 [경제/경영] 인텔, 유럽에 공장 2곳 건설 [경제/경영] 인텔, 유럽에 공장 2곳 건설 [경제/경영] 젊은층·고령층 일자리 [경제/경영] 한전 35% 인국공 45% 채용 줄여 [사회/문화] 내년 건강보험료 1.89% 올려 [사회/문화] 택배 대리점주 절반 노조에 괴롭힘 당해 [국제/관계] 2045년 인간 수준 지능 가진 AI 탄생 [국제/관계] 알루미늄 가격이 10년 만 최고 수준 7평 매장에서 시작한 떡볶이집의 성공신화 죠스푸드 죠스푸드는 대학가 작은 떡볶이 집에서 시작해 500억원의 매출을 내는 외식업체로 성장한 기업이다. 2010년 가맹사업에 뛰어들어 전국 400여 개의 매장을 열었으며 해외에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학자금 벌기위해 외식사업에 뛰어들었다가 죠스푸드를 창업한 나상균 대표는 제학회사 영업직으로 근무하다가 평소 관심을 가졌던 F&B분야를 공부하기 위해 외국유학을 결심했다. 유학자금을 벌기 위해 시작한 것이 바로 떡볶이 집이다. 당시 3백원 짜리 중고그릇을 구매해 사용하고 직접 페인트 칠을 하며 인테리어할 정도로 자금이 부족한 상태였다고 한다. 그렇게 고려대학교 앞 작은 떡복이 가게 죠스떡볶이는 2007년 문을 열었다. 7평 남짓한 공간이었지만 특유의 매콤달콤한 소스 맛이 입소문을 타며 금새 월 매출 6~7천만원을 올리는 맛집이되었다. 처음에는 떡볶이집 운영을 통해 유학을 하는 동안 매달 생활비만 벌면 된다는 생각으로 시작한 사업은 어느새 가맹사업으로 발전했다. 1년 만에 30여 곳의 가맹 매장을 낸 그는 곧장 프랜차이즈화에 힘썼다. 당시 좋은 재료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아야한다고 판단한 나 대표는 CJ에 전용 식자재를 공급받고 싶다고 제안했다. 당시 죠스떡볶이의 매장은 6곳에 불과했지만 나 대표의 끊임없는 설득끝에 결국 계약을 체결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죠스떡볶이도 크게 성장할 수 있었다. 지금은 CJ뿐 아니라 오뚜기와도 협업해 튀김가루, 식용유 등을 개발했다. 명확한 타겟 전략을 통해 또 다른 브랜드도 성공가도 죠스떡볶이의 프랜차이즈 사업이 크게 확장되면서 죠스푸드는 2013년 또 다른 외식 브랜드를 내놓았다. 바로 프리미엄 김밥 브랜드 바르다김선생이다. 치열한 외식 시장에서 바르다김선생은 고급재료를 아낌없이 사용하고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는 정책으로 다소 비싼 가격임에도 빠르게 사세를 확장해나갔다. 특히 바르다김선생은 싸구려 음식이라는 김밥의 이미지에 정면돌파하며 3,40대의 맞벌이를 하는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를 모았다. 3,40대 젊은 엄마들을 타겟한 만큼 상권 선정에도 공을 들였다는 후문이 있다. 죠스푸드의 색다른 도전은 MZ세대 사이에서도 화제를 모았다. SNS에 어묵국 티백 이미지를 장난삼아 올렸다가 실제 출시해달라는 고객들의 요청이 쇄도하자 실제 제품을 매장에 출시해 한 달 만에 완판신화를 이루기도 했다. 현재는 세븐일레븐을 통해서도 제품을 판매 중이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