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IT업계 인력부족 2만명 추정
[경제/경영] IT업계 인력부족 2만명 추정
[경제/경영] IT업계 인력부족 2만명 추정 [경제/경영] IT업계 인력부족 2만명 추정 [경제/경영] 11개 교육청, ‘교육재난지원금’ 지급 [경제/경영] 11개 교육청, ‘교육재난지원금’ 지급 [경제/경영] 불어나는 신재생 청구서 [경제/경영] 불어나는 신재생 청구서 [경제/경영] 농촌·소규모 사업자에 뭉칫돈 [경제/경영] 한국서 숨도 못쉬는 기업들 [경제/경영] 한국서 숨도 못쉬는 기업들 [경제/경영] 태양광 배 불리는 RPS 비율 상향 [사회/문화] 지하철 미세먼지 예산 2년새 뚝 [사회/문화] 지하철 미세먼지 예산 2년새 뚝 [사회/문화] 고령화율 2045년 일본 추월 [사회/문화] 40% 늘어난 이륜차 사고건수 [국제/관계] 초대형 소비시즌 최악의 물류대란 [국제/관계] 中 발전용 석탄 비축량 사상 최저 종이 빨대의 국산화를 이룬 친환경 기업 리앤비 일회용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여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카페, 외식업계가 플라스틱 빨대 퇴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가운데 플라스틱 빨대를 대체할 수 있는 종이 빨대를 개발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기업이 있다. 바로 친환경 기업 리앤비다. 친환경 아이템에 대한 고민 리앤비를 창업한 이헌국 대표는 유한킴벌리의 영업직 출신으로 27년 간 생활용품 유통업계에 몸담았던 인물이다. 업계에서 쌓은 노하우와 인맥을 기반으로 창업에 나선 그는 친환경 용품을 아이템으로 삼았다. 처음에는 중국산 제품을 들여와 국내 기업들에 납품하는 형태로 사업을 이어나갔지만 좀 더 지속가능한 아이템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 대표는 종이 빨대를 직접 개발하기로 마음먹었다. 기존 동남아와 중국에서 생산되던 종이 빨대는 품질이 좋지 않아 음료에 닿으면 금방 흐물흐물해졌기 때문이다. 그가 종이 빨대 개발에 나선 시기는 2018년으로, 종이 빨대를 도입하는 기업이 많지 않았던 때였다. 이 때문에 국내에서는 종이 빨대 개발에 대한 역량을 갖춘 업체를 찾기도 어려웠다고 한다. 그럼에도 이 대표는 친환경 종이 빨대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확신하고 개발에 정진했다. 그렇게 시행착오 끝에 종이 빨대를 개발, 생산하는 데에 성공했고 글로벌 커피 프랜차이즈 스타벅스에 납품하는 쾌거까지 이뤄냈다. 국산 종이 빨대의 경쟁력과 친환경 기업으로서의 행보 리앤비의 종이 빨대는 기존 종이 빨대에 사용되던 풀 접착제를 없애고 가열접착 방식을 적용했다. 이러한 방식을 개발하게 된 계기는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종이 빨대에대해 갖고 있던 불안감 때문이었다. 입에 닿는 빨대의 특성 상 종이를 접착하는 풀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이 컸다. 이러한 피드백을 반영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가열접착 방식을 개발한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보다 환경적인 제품을 위해 코팅제에도 공을 들였다. 리앤비가 사용한 코팅제는 수분에 강할 뿐더러 식품 안정성까지 입증된 코팅제다. 거기다 재활용성까지 기존 코팅제보다 월등이 뛰어나 친환경적인 요소까지 갖췄다. 이 같은 강점으로 리앤비는 스타벅스를 비롯 국내 유명 커피 프랜차이즈 매장에 납품하며 국내 종이 빨대 시장점유율 80% 이상을 웃도는 1위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리앤비는 종이 빨대만으로 친환경 기업을 표방하는 것은 아니다. 이 대표는 그의 창업 동기처럼 친환경 행보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종이 빨대로 안정적인 매출을 낸 뒤 출시한 우산세수기가 대표적이다. 유산 비닐커버를 대체할 친환경 세수기는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며 비닐 쓰레기를 배출하지 않아 백화점, 공공기관에서의 수요가 높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