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도요타, 거인이 잠을 깼다… 미래차 C·A·S·E로 진격!🚙 20년간 하이브리드만 고집하더니… 올해 전기차·자율주행· 차량공유 동시다발 투자 [경제/경영] 16억 차익내고, 전셋값 7억 올리고…'평당 1억' 아파트 거래🏬 지난해초 이후 거래 33건 조사… 대부분이 갭투자 '아크로리버파크' 매입 최다… 근저당 거래도 나와 [경제/경영] 쿠팡·KAI·현대해상…기업집단 71곳 '최다'📌 공정위 공시대상집단 지정 순환출자제한 기업도 40곳 정의선·조현준 그룹 총수로 美국적 쿠팡 김범석은 제외 [경제/경영] 직장인들 “집도 사무실도 싫어”… 하이브리드 오피스 산업이 뜬다🏢 다시 주목받는 공유 오피스 시장 독서실처럼 업무 공간 꾸며놓고 회의실 · 라운지 시간 단위로 대여 부동산 · IT업계 시장 선점 쟁탈전 日선 열차 개조해 사무실 제공도 [경제/경영] 작년 코로나 집콕 생활 영향…식품·생활용품 택배 확 늘었다📦 CJ대한통운, 작년 운송장 분석 1년새 22% 증가, 3·11월 최대 [경제/경영] 배달로봇도 엘리베이터 탄다🤖 홍남기 "로봇산업 규제 혁파" 의료·교육 서비스 표준도 개발 [경제/경영] 한국, 세계 최고 수준 상속세…대출 받으러 다니다 기업 아예 판다📝 OECD 국가 중 단연 1위 최대주주 할증땐 세율 60%까지 중소 · 중견기업서 가업포기 속출 세계는 소득세 높이고 상속세 폐지 징벌적 과세가 창업 동기도 꺾어 "삼성이 스웨덴 기업이었다면 0원" [정치/행정] ‘윤석열 변호’ 이완규 서울대 동기, 이철우는 대광초 절친✨ 이 변호사, 윤 징계소송 대리인 담당 김성한 전 차관·한승한 병원장도 친해 대학시절 받은 세례명 ‘암브로시오’ 법대 1년 선배 백윤재 변호사가 대부 김용판 “윤, 과거 수사 고해성사하라” 친박계와 악연, 대선국면 변수로 [국제/관계] 바이든 "경제 낙수효과 작동안해…부자들 공정한 몫 내라"📢 "월가아닌 중산층이 나라세워" 부자·대기업 증세 공식화 일자리·교육·인프라 분야에 4500조원 공격적 지출 통해 루스벨트식 큰정부 실험 예고 [국제/관계] 애플, 아이폰 잘 팔리는데도…애플 페북, 웃지 못하는 까닭은🎭 애플, 全제품 두자릿수 성장 반도체 가뭄에 2분기는 먹구름 페북, 광고수익 크게 늘었지만 사생활 보호 규제에 성장 제동 80여 년 역사의 출판사 펭귄북스 《 (2) 일관성, 통일성으로부터 오는 브랜드의 힘》 펭귄북스의 창업 초, 중기가 책의 가격을 낮춰 지식의 대중화에 기여하는 스토리였다면, 그 이후부터 지금까지는 브랜딩 이야기가 빠질 수 없다. 펭귄북스는 책의 단가를 낮추기 위해 책 표지를 통일했는데 당시의 삼분할식 표지 디자인은 지금까지 펭귄북스의 브랜드 정체성으로 이어져내려 오고 있다. 오랜 역사의 책 표지, 브랜드로 각인되다 책은 표지에서 책의 내용과 주제의식 등을 드러내는 것이 흔하다. 하지만 펭귄북스는 특유의 펭귄 로고와 책 제목, 저자만이 책 표지에 나타나있을 뿐이다. 책 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색상인데, 각각 다른 종류인 것을 쉽게 구분하기 위함이다. 보통 주황색은 일반소설, 녹색은 추리소설, 파란색은 전기를 의미한다. 오랜 기간 이 같은 디자인을 고수해온 펭귄북스는 자연스럽게 대중들에게 브랜드를 인식시킬 수 있고 현대에 들어서는 펭귄 마스코트가 하나의 아이콘으로 자리잡았다. 펭귄북스의 삼분할 디자인은 여러 굿즈 상품에도 적용하기 좋았다. 노트부터 시작해 머그컵, 에코백 등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현재는 펭귄 랜덤 하우스(펭귄북스와 랜덤하우스와의 합병 기업으로 전 세계 25%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의 전체 매출 중 15% 가량이 굿즈에서 발생하고 있을 정도다. 타이포그래피와 브랜드 정체성 정립 펭귄북스는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대표적 사례이기도 하다. 펭귄북스가 지금까지도 현대적인 감성을 지닌 브랜드로 손꼽히는 이유다. 타이포그래피의 중요성은 꽤 최근이 되어서야 인식되기 시작했다. 많은 부분이 디지털화되면서 타이포그래피는 어느 곳에서나 빠질 수 없는 디자인적 요소가 되었기 때문이다. 펭귄북스는 디지털화 시대는 커녕 1940년 대에 타이포그래피에 대해 고민했다. 그 계기는 새로운 인쇄 기술의 등장이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새로운 활자 인쇄 기술이 등장하면서 문고판 시장은 점차 활성화를 띄기 시작했다. 새로운 활판 인쇄 방식은 기존 하드커버에서나 인쇄할 수 있었던 화려한 디자인을 문고판 종이에도 인쇄할 수 있게 만들어주었으며, 출판사들은 너나할 것없이 전문 사진작가와 일러스트레이터 등을 고용해 표지 디자인에 공을 들였다. 이에 창업자 레인은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 얀 치홀트를 초빙해 펭귄북스의 브랜드 정체성을 정립했다. 다른 출판사들이 화려함을 강조할 때 얀 치홀트는 단순화, 표준화를 핵심 요소로 내세웠고 2년 여 끝에 펭귄북스에 사용되는 모든 디자인과 구성을 표준화된 포맷으로 만들어냈다. 서체의 종류뷰터 크기, 기울기, 너비, 표지의 규격까지 세세하게 구성된 이 포맷은 1949년 탄생하여 지금까지 펭귄북스의 모든 인쇄물의 표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