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경제 살리는 프랜차이즈 [경제/경영] 한국 상속세율 OECD 2위, 부담 커 [경제/경영] 삼겹살·한우…식탁 덮친 물류대란 [경제/경영] 자율항해·솔루션플랫폼 개발 [경제/경영] 국내 자동차 생산량 13년 만 최저치 [경제/경영] 동남아 유니콘, 세계 4위 [경제/경영] 초단기 취업자 153만명 [경제/경영] CJ제일제당 스포츠마케팅 눈길 [경제/경영] 아연값 14년만에 최고치 [경제/경영] 세계 물류자동화 경쟁 치열 [경제/경영] ‘과일 소확행’ 희귀 품종 수요 급증 [경제/경영] 반도체 수급난에도 상대적 선방 [경제/경영] 올해 이노비즈 인증기업 2만개 돌파 예상 [사회/문화] 내년 특별지자체 출범 전폭 지원 [사회/문화] 종사자수 年 220% 늘어 [사회/문화] ‘비정규직 제로’ 어디까지 왔나 [사회/문화] ‘비정규직 제로’ 어디까지 왔나 [국제/관계] ‘비정규직 제로’ 어디까지 왔나 [국제/관계] 노후원전 재가동 시작한 日 [국제/관계] 美 이어 유럽까지 '컨테이너겟돈’ 스타숲, 반려나무까지 혁신적인 나무 심기 프로젝트로 주목받는 소셜벤처 트리플래닛 사막화, 지구온난화,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가 불거지면서 나무를 심고 자연을 가꾸는 데에 전 세계인들의 관심이 뜨겁다. 이 가운데 혁신적인 방법으로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는 소셜벤처 트리플래닛이 주목을 받고 있다. 숲의 필요성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 확산, 그럼에도 행동은? 트리플래닛은 2010년 창업해 현재까지 누적 100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국가로는 13개 국에 숲을 조성했으며 이렇게 조성한 숲은 매년 4,700톤에 해당하는 이산화탄소를 감축시키는 효과를 내고 있다. 트리플래닛은 많은 사람들이 숲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지만 개인이 숲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제한적이다라는 문제점에서 시작했다. 트리플래닛 김형수 대표는 언론정보학은 전공하고 환경문제를 고발하는 다큐를 찍으며 감독 활동을 했다. 환경 다큐 감독으로 활동하던 당시 사람들의 인식 전환은 이끌어낼 수 있었지만 행동을 이끌어내는 것은 다른 문제라는 깨달음을 얻고 트리플래닛을 창업했다. 게임부터 시작해 연예인 숲, 커피나무 농장까지 트리플래닛의 첫 시작은 게임이었다. 가상으로 나무를 심으면 실제로 나무를 심어주는 게임으로 게임 내 광고를 수익으로 기업들의 후원을 받았다. 트리플래닛이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게 된 계기는 크라우드펀딩 서비스를 선보이면서 부터다. 트리플래닛은 2013년 팬들로부터 펀딩을 받아 숲을 조성하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트리플래닛을 통해 BTS숲, 소녀시대 숲 등 80여 개의 연예인 숲이 탄생했다. 이 뿐만 아니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기리는 숲, 연평해전 추모 숲까지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숲들도 조성했다. 스타숲, 추모숲 조성 이후에는 네팔, 인도네시아 등에 커피나무를 심고 공정무역 커피 유통을 만들어나가는 프로젝트도 시작했다. 최근에는 반려나무 입양을 통한 나무심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를 위해 나무를 보다 쉽게 키울 수 있는 전용 화분도 개발했다. 개인들의 구매도 늘어나고 있지만 유치원, 학교, 직장 등에서 대량 구매를 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를 통해 조달한 수익금으로는 교실숲 조성에도 나서고 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