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규제애로 유형, 복잡한 행정절차 등
[경제/경영] 생산자물가 6개월 연속 신기록 행진
[경제/경영] 탄소 중립 첫 단계부터 부작용 속출 [경제/경영] 탄소 중립 첫 단계부터 부작용 속출 [경제/경영] 국제유가 7년만에 최고치 [경제/경영] 1억원짜리 전기차 팔면 3천만원 남겨 [경제/경영] 1억원짜리 전기차 팔면 3천만원 남겨 [경제/경영] 1억원짜리 전기차 팔면 3천만원 남겨 [경제/경영] 국내 산업계 연구개발 혁신 위한 대규모 집중 투자 [경제/경영] 차기 정부 ICT 최우선 정책으로 '법·제도 개선' [경제/경영] 자율차 개발 프로젝트 'SEM' 진행 [경제/경영] '미래 먹거리' 애그테크에 사람·돈 몰린다 [사회/문화] 근로자 1000명당 노동손실일수 [사회/문화] 경실련, 공공 환수 금액 10%에 불과 주장 [사회/문화] ‘국한 상태’ 환자 생존율 71%로 급등 [사회/문화] ‘국한 상태’ 환자 생존율 71%로 급등 [정치/행정] 대장동·경선 후폭풍 덮쳐 29.5% [국제/관계] 러시아, 다음 달 천연가스 공급 동결 방침 한 번 쓰고 버려지는 반도체 유기용제 재활용나서는 한국석유공업 1964년 설립된 한국석유공업은 석유에서 추출한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국내 대표기업이다. 연 4,000억원이 넘는 매출과 100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강소기업으로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운영되어왔다. 요동치는 석유시장, 꾸준한 신사업 발굴로 안정적인 운영 최근 한국석유공업의 실적발표에 이목이 쏠렸다. 3분기 매출액은 1,40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3%가 올랐지만 영업이익은 전년동기와 비교해 반토막이 났기 때문이다. 국제 유가 상승 및 중국에서 수입하는 원자재의 가격이 폭등한 것이 영업이익률 하락에 큰 영향을 줬다. 이처럼 유가, 수입국의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석유 시장에서 한국석유공업은 꾸준히 신사업을 발굴해 위기를 극복했다. 최근에는 ESG경영 관점에서 친환경 사업에도 나서고 있다. 아스팔트, 유기용제 주력. 신사업은 재활용 한국석유공업의 주력제품은 아스팔트다. 국내 아스팔트 시장점유율은 70%에 달한다. 이뿐 아니라 유기용제 사업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유기용제는 물에 잘 녹지 않는 물질을 녹이는 용도로 사용된다. 휘발유, 시너, 솔벤트 같은 제품이 대표적이다. 반도체, 2차전지 등의 제조과정에서 없어서는 안될 화학제품으로 세정액 등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유기용제는 한 번만 사용되고 전량 폐기하고 있어 환경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한국석유공업은 이를 재활용하여 고순도의 유기용제를 생산하는 사업을 새로운 먹거리로 추진하고 있다. 울산공장, 세정액부터 시작 국내 고순도 유기용제 시장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증류를 위한 공정자체가 까다롭고 대규모 설비투자가 이뤄져야하기 때문이다. 한국석유공업은 ESG경영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데다 EU 등에서 재생 유기용제 사용을 법적으로 의무화하는 법안이 발의되면서 재활용 유기용제 사업에 뛰어들었다. 총 220억원 가량을 투자한 울산공장은 총 3개의 증류타워가 완공을 앞두고 있다. 가장 높은 타워의 높이는 50m로 국내에서 가장 높은 증류타워다. 내부 역시 고순도 유기용제 생산을 위해 촘촘히 구성되어 있다. 완공을 앞둔 3개의 타워에서 세정액 유기용제 재활용을 시작으로 식각객, 현상액 등 다양한 유기용제 재활용에 나설 계획이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