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주52시간-최저임금제 유연하게
[경제/경영] 주52시간-최저임금제 유연하게
[경제/경영] 정부 정책 지원·제2 벤처붐 효과 [경제/경영] 게임·엔터·블록체인·정수기 시너지 기대 [경제/경영] 3분기 글로벌 자금 190조원 몰려 [경제/경영] 3분기 글로벌 자금 190조원 몰려 [경제/경영] 한국 딸기 “맛과 향 뛰어나” 새로운 한류 스타로 [경제/경영] 경력단절 여성, 육아때문에 퇴직 [경제/경영] 경력단절 여성, 육아때문에 퇴직 [경제/경영] 지방교부금 정산 7조6천억 [경제/경영] 현대차·기아 실적개선에 주가 20~30% 상승기대 [경제/경영] 2030 유입으로 골프 인구 확대 [사회/문화] 위드 코로나로 인한 심야택시 승차난 개선 필요 [사회/문화] 위드 코로나로 인한 심야택시 승차난 개선 필요 [정치/행정] '주4일 근무제' 도입, 직장인 대다수 긍정 평가 [정치/행정] '주4일 근무제' 도입, 직장인 대다수 긍정 평가 [국제/관계]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 극적인 감소세 [국제/관계]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 극적인 감소세 스카이의 제 2의 전성기 만들겠다. 스카이랩의 도전 한 때 국내 휴대폰 시장을 휩쓸었던 브랜드 스카이(SKY)가 재도약을 노리고 있다. 스카이를 운영 중인 착한텔레콤은 스카이 브랜드를 육성하겠다는 목표로 사명은 스카이랩으로 변경, 모바일 주변기기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가성비 브랜드와 경쟁 스카이랩은 2019년 팬텍으로부터 스카이와 관련된 사업을 인수, 생활가전 및 모바일 주변기기를 출시했다. 보조배터리, 무선이어폰, UV살균기 등 그 동안 60여 종의 제품을 출시, 판매해왔다. 몇몇 품목은 샤오미, QCY 등 저가 중국 브랜드보다 높은 점유율을 확보했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모바일 주변기기나 소형 생활가전 시장은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브랜드들의 시장점유율이 높은 시장이다. 그럼에도 스카이의 시장 내 입지는 커지고 있다. 해외 직구가 대부분인 중국 브랜드와 달리 AS가 가능한 데다 가격경쟁력에서도 뒤지지 않기 때문이다. 스카이랩은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면서도 품질을 높이기 위해 중국 공장에 상주직원을 두고 품질 관리에도 심혈을 귀울이고 있다. 올해는 제품군을 100종으로 늘린다는 계획도 세웠다. 주력 사업 매각, 본격적인 스카이 키우기 스카이 브랜드의 본격적인 성장을 위해 스카이랩은 기존 주력 사업인 중고폰 사업을 매각했다. 스카이랩의 전신인 착한텔레콤은 투명한 중고폰 거래서비스로 입소문을 타며 연 매출 100억원의 사업체로 성장했다. 휴대폰 유통뿐 아니라 제조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박종일 대표는 한 때 국내 휴대폰 브랜드 중 가장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고 있었던 스카이를 떠올렸다. 박 대표는 스카이의 제 2의 전성기를 만들어보겠다는 목표로 인수를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고폰 사업의 매각 대금으로 물류, AS 인프라를 구축했으며 유통구조 효율화, 마케팅 비용 절감을 통해 판매가를 낮췄다. 국내 스마트폰 제조 시장의 문제 국내에서도 스마트폰 제조 시장이 다각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그는 삼성 하나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스마트폰 제조 시장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삼성의 아성이 언제 무너질 지 모르는 일이기 때문에 위기의식을 가져야한다는 것이다. 스카이랩은 화웨이, 샤오미, 오포 같은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과 경쟁하는 구도를 만들어 삼성의 독주 체제인 국내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겠다는 목표로 사업을 확장시켜나가고 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