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종부세 시도별 고지 현황
[경제/경영] 해운 물류 안정화 위한 대책 마련 시급
[경제/경영] 정부, 처음으로 가상화폐법 제정 착수 [경제/경영] 가상 세계서 촉감 느끼는 장갑 개발 [경제/경영] 실손의료보험 보험료 내년 대폭 인상 전망 [경제/경영] KIC 대체투자 핵심 인력, 잇달아 해외 기관으로 [경제/경영] KIC 대체투자 핵심 인력, 잇달아 해외 기관으로 [경제/경영] 중고거래 플랫폼 사기 논란 [경제/경영] 중고거래 플랫폼 사기 논란 [경제/경영] 稅부담에 억눌린 한국 [경제/경영] 稅부담에 억눌린 한국 [경제/경영] 稅부담에 억눌린 한국 [사회/문화] 카이스트·유니스트 원자력과 신입생 급감 [사회/문화] 출생·혼인·사망 등 주요 인구지표 모두 악화 [사회/문화] 출생·혼인·사망 등 주요 인구지표 모두 악화 [국제/관계] 각국 탄소중립 전환 비용도 늘어 [국제/관계] 10년만의 전략비축유 최대 방출 [국제/관계] 10년만의 전략비축유 최대 방출 27번의 실패 끝에 1,000억 매출의 성공 사업가가된 야나두 김민철 대표 온라인 영어회화 서비스 업계 1위인 야나두가 최근 피트니스 자전거 시장에도 진출하면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카카오와의 합병 후 상장까지 바라보고 있는 야나두는 그 유명세와 달리 창업 스토리에 대한 이야기는 뒤늦게 알려졌다. 평범한 청년, 실패 전문가가 되다 야나두를 창업한 김민철 대표는 화려한 학벌, 금수저와는 거리가 먼 평범한 청년이었다. 서울로 상경해 취업문을 두드렸지만 실패했고 오락실에서 동전을 교환해주는 일로 사회생활에 뛰어들었다. 당시 월급은 고작 23만원. 그렇게 이곳 저곳으로 이직하다가 2010년 처음으로 사업에 뛰어들었다. 첫 사업아이템은 야구 신문이었다. 롯데의 열렬한 팬이었던 그는 롯데 팬 전문지 갈매기 타임스를 창업했다가 투자금 3억원을 몽땅 날렸다. 그럼에도 그는 또 다시 창업에 도전했다. 두번째 아이템은 야구장 머리띠 사업. 예상과 달리 두번째 창업에서는 큰 수익을 얻으며 첫번째 날렸던 투자금을 2년 만에 모을 수 있었다. 그 다음 손을 댄 분야가 교육 사업이다. 수업을 다 들으면 수강료를 환급해주는 시스템을 처음으로 도입한 사람이 김 대표다. 그는 수강료 환급 시스템을 도입한 EBS 토익 목표달성을 론칭해 150억원의 수익을 냈다. 그 와중에도 김 대표는 꾸준히 새로운 사업에 도전했다. 도시락, 카페 등 외식사업부터 학원, 쇼핑몰 등 27번의 도전이 있었다. 그 중 24개가 실패로 끝났다. 계속되는 실패 속에서 자신감이 떨어질 법도 하지만 김 대표는 실패에 대해 연구하며 또 다시 일어서는 방법을 터득했다. 그가 말하는 성공 방법은 작고 쉬운 성공의 경험을 누적하여 자신감을 되찾고 성공을 쌓아나가는 것이다. 야나두 대박, 성공 사업가로 그런 그가 야나두를 시작할 때는 어떤 마음가짐이었을까? 김 대표가 야나두를 창업할 때에 시장상황은 좋지 않았다고 한다. 당시 국내 온라인 영어회화 서비스 시장은 한 회사가 독점하고 있었고 틈새를 노리기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성인영어시장 규모가 1조 8,000억원에 달하며 모바일 시장으로 점차 전환되는 추세 속에서 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본 그는 통큰 결정을 내린다. EBS 토익 목표달성 사업으로 번 수익금 중 50억원을 투자해 배우 조정석을 모델로 기용하고 대규모 마케팅에 나선 것이다. 그러면서 회사 잔고가 11만원으로 떨어지기까지 했다. 하지만 이후 TV광고가 흥행을 하면서 회원수가 급증하기 시작했고 연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하며 업계 1위에 올랐다. 카카오 에듀테크의 계열사가 된 야나두에서 김 대표는 피트니스 서비스 야핏과 일상의 작은 성공을 도와주는 앱 유캔두를 필두로 건강과 교육을 통해 인간의 잠재력을 끌어올리는 회사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