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증시 활황에 한국 부자 11% 늘어
[경제/경영] 증시 활황에 한국 부자 11% 늘어
[경제/경영] 금융자산 10억이상 39만3천명 [경제/경영] 금융자산 10억이상 39만3천명 [경제/경영] 매년 10% 성장…98만대 등록 [경제/경영] 중국이 물량 80% 이상 생산 [경제/경영] 中 필수소재 공급 죄면서 가격 2~3배↑ [경제/경영] 中 필수소재 공급 죄면서 가격 2~3배↑ [경제/경영] 中 필수소재 공급 죄면서 가격 2~3배↑ [경제/경영] 中 필수소재 공급 죄면서 가격 2~3배↑ [경제/경영] 中 필수소재 공급 죄면서 가격 2~3배↑ [경제/경영] 진화하는 전화금융사기 [사회/문화] 무주택 가구 900만 넘었다 [사회/문화] 무주택→유주택 2년간 감소 [사회/문화] 무주택→유주택 2년간 감소 [사회/문화] 스타트업 창업자 1462명 전수조사 [사회/문화]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택시 이동량 증가 [국제/관계] 美국민 48% “바이든, 인플레 책임” 크리에이터 디자인 상품 플랫폼 핸드허그, 캐릭터 시장 변화 속 크리에이터들에 집중해 연 매출 23억원 국내 토종 캐릭터 산업이 활기를 띄고 있다. 카카오, 라인프렌즈를 필두로 여러 토종 캐릭터가 흥하면서 관련 디자인 제품들의 판매도 크게 늘어났다. 이는 대기업들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개인들도 캐릭터를 창작해 유통하면서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굿즈샵과 달라 크리에이터 제품 판매 플랫폼 젤리크루를 운영하는 스타트업 핸드허그는 2015년 설립됐다. 취향소비를 중시하는 MZ세대들을 공략해 빠르게 성장했다. 젤리크루는 크리에이터들의 굿즈샵으로 잘 알려진 마플샵과 자주 비교된다. 하지만 핸드허그의 박준홍 대표는 젤리크루는 팬심을 자극해 제품을 판매하는 굿즈샵보다는 소품샵에 가깝다고 설명한다. 크리에이터들의 디자인을 브랜드화하여 문구류나 스티커, 폰케이스 등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지만 젤리크루의 구매자는 마플샵같은 굿즈샵과 달리 필요에 의해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크다는 것이다. 이 같은 부분이 굿즈와 프로덕트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말하는 박 대표는 일회적인 구매가 대부분인 굿즈와 달리 프로덕트는 지속적인 구매가 일어난다는 점을 꼬집었다. 따라서 경쟁사는 마플샵이 아닌 아트박스, 텐바이텐 등 디자인 소품샵이 되는 것이라며 덧붙였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크리에이터들이 주도 디자인 문구 시장이 IP를 기반으로 빠르게 바뀌기 시작하면서 박 대표는 크리에이터들의 IP를 활용해 브랜드 상품을 만들면 성공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렇게 2017년 젤리크루가 탄생했다. 누구든 크리에이터가 되어 젤리크루에 디자인을 등록할 수 있으며 제품화, 판매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카카오, 라인프렌즈와 달리 크리에이터들의 IP소유권을 보장해주는 것도 특징이다. 그의 예상대로 디자인 문구 시장의 트렌드를 크리에이터들이 주도하기 시작했고 젤리크루가 선보인 제품들은 MZ세대들의 취향을 말그대로 ‘저격’했다. 코로나19로 쪼그라들고 있던 오프라인 시장으로도 과감하게 확장했다. 10대와 20대 유동인구가 많은 대학가, 백화점에 입점하며 젊은 층들에게 눈도장을 확실히 찍었다. 지난해 2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7개인 직영점을 올해 15개까지 늘린다는 계획도 내세우고 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