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네이버·카카오의 민낯🎭 사실상 독식하는 위계적 지배구조 [경제/경영] 내년에 600조 '초슈퍼예산'📢 코로나19 백신 구입·접종· '부실 배급' 논란, 군대 급식단가 인상 [경제/경영] 전세·월세·매매 시장 가격 상승🏠 집값 과열 예측 [경제/경영] 지역화폐, 지자체 계좌에서 관리📋 불가피한 경우, 정부와 사전 협의 후 신탁 방식 관리 [경제/경영] 지난 10년간 부동산 시장 초호황🎉 하지만 건설 경기는 급감해 [경제/경영] 아이폰 이용자 겨냥한 미래에셋페이📱 ‘페이 전쟁’의 본격화 [사회/문화] 암호화폐 관련 범죄 기승👿 암호화폐 가격이 치솟자 [사회/문화] 발의 법률안에 사전검토제 도입⚖️ 국회의 ‘묻지마 입법’이 가장 큰 영향 [국제/관계] 日, 최근 1~2년새 부는 한국 음식 열풍🗾 동네 슈퍼·편의점 온갖 종류의 한국 식품 50여 년 가발 한 우물, 성창의 창업자 김영율 대표 오래 전 한국의 성장 기반을 책임졌던 가발 산업. 이러한 가발 산업에서 살아있는 전설로 손꼽히는 성창(대표 김영율)은 전 세계 가발 업체 중 독보적 1위를 유지하고 있다. 1970년대 가발공으로 시작해 지금에 이르기까지 인도네시아에 본사를 둔 성창은 미국, 유럽 등에 가발을 수출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한국인이 설립한 회사다. 인도네시아에만 8개의 공장을 두고 있으며 약 2만 여 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성창을 창업한 김영율 대표는 1970년대부터 구로공단에 위치한 가발 공장에서 일하며 가발 디자이너로서의 길을 걸었다. 가발 디자이너로 활약한 그는 새로운 가발을 직접 개발할 정도로 열정적이었다고 한다. 그때의 열정은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김 대표는 현재로 가발 디자이너로 활동 중이다. 여러 가발 회사에서 디자이너로 활동하다가 1986년 가발 사업에 뛰어들어 지금에 이르렀다. 한국 가발산업의 쇠퇴 속 인도네시아로 향하다 7, 80년대 한국의 가발 산업을 일군 주역으로 주목받았던 그는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위기에 봉착했다. 국내에서도 인건비가 크게 오르기 시작했고 노동집약 산업인 가발 산업은 큰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었다. 점차 국내 가발 산업이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문을 닫는 가발 회사들이 우후죽순 늘어났다. 성창 역시 인력난을 겪으며 위기에 빠졌다. 이에 김 대표는 해외로 눈을 돌렸다. 그는 베트남, 중국 등의 유력 후보지를 제치고 인도네시아를 선택했고 1993년 인도네시아로 공장을 이전했다. 공장 이전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꿈꿨던 그에게 또 다시 위기가 찾아왔다. 현지 사정을 잘 몰라 사기를 당했고 주 납품처가 거래를 끊어 매출도 폭락했다. 한국에서 집을 팔면서까지 마련한 돈으로 근근히 버틴 그는 1997년 출시한 쪽머리 가발로 다시 재기할 수 있었다. 김 대표는 가발 디자이너로 역량을 발휘해 내놓는 제품마다 소위 대박을 터뜨렸고 성창은 곧 업계를 장악하기 시작했다. 가족 기업으로 운영 현재 연 매출 1,100억원대의 강소기업으로 성장한 성창은 가족 기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큰 아들은 대기업 입사 제의도 마다하고 현재 성창의 전무로 일하고 있으며 작은 아들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공장 관리를 하고 있다. 작은 아들은 현지 직원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인도네시아로 귀화하기도 했다. 딸은 한국 시장을 담당하고 있다. [ 특허의 수명 ]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