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즉시배달시장 2025년 5조전망
[경제/경영] 즉시배달시장 2025년 5조전망
[경제/경영] 즉시배달시장 2025년 5조전망 [경제/경영] 업계 “K반도체 전략 속도 못내” 불만 [경제/경영] 반도체 대란에 자동차 기업들의 대응 [경제/경영] 팬데믹 위기 속 신규 해외법인 증가 [경제/경영] 한국 국내총생산(GDP) 수출 비중 40% [경제/경영] 한국 국내총생산(GDP) 수출 비중 40% [경제/경영] 한국 1인당 GDP 4만달러 진입 전망 [경제/경영] 은행권 연대보증 16만건, 120조원 [경제/경영] 수도권 쓰레기 반입량 2.7배 해결한 시멘트업계 [경제/경영] 수도권 쓰레기 반입량 2.7배 해결한 시멘트업계 [사회/문화] AI연구원 “미래 핵심 기술” 집중투자 [정치/행정] 대선후보 경제회복 적임자 [정치/행정] 대선후보 경제회복 적임자 [정치/행정] 대선후보 경제회복 적임자 [정치/행정] 탈원전 정책 국민 지지도 낮아 [정치/행정] 미·중 갈등 구도에서 미국 우선 럭셔리 바닥재 시장의 히든챔피언 녹수 글로벌 바닥재 시장의 히든챔피언 녹수가 프리미엄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녹수는 에르메스 같은 명품 매장부터 뉴욕 메리어트 호텔, W호텔 등의 고급 호텔 등에 바닥재를 납품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LVT 시장을 재패한 히든챔피언 1994년 설립된 녹수는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더 유명하다. 지난해 2,700억원이 넘는 매출을 냈는데 전체 매출 중 90%는 수출실적이다. 약 5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유명 디자인 어워드에서 다수의 수상실적까지 갖췄다. 녹수의 주력상품인 럭셔리비닐타일(LVT)은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지만 시공과 유지보수가 간편하여 바닥재 시장에서 꾸준히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제품이다. 특히 매장, 공항 라운지 등 상업 공간에서 많이 사용되는 바닥재다. 녹수는 상업용 LVT 시장에서 점유율 20%을 기록하고 있으며 전 세계 시장에서 점유율 1위 기업이다. 일괄생산체제로 고객사 맞춤형 생산도 가능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가가 선도하고 있는 바닥재 시장에서 녹수는 어떻게 히든챔피언으로 성장할 수 있었을까? 녹수는 2000년부터 소재 개발부터 원재료 생산, 제품 설계 및 완제품 생산까지 모든 공정을 처리하는 일괄생산체제를 갖췄다. 이는 업계에서는 최초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분의 경쟁업체들이 시트지 형태의 레이어를 각각 납품받아 겹치는 작업을 하는 수준에 머물러있다면 녹수는 한 발 더 나아가 우레탄 지지층부터 유리섬유, 디자인 인쇄지, 보호필름까지 모든 레이어를 각각 자체 개발, 생산한다. 이같은 체체 덕분에 고객사 맞춤형 생산도 가능하다. 고급화 전략이 통하다 고급화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경쟁업체들이 단가를 낮추기 위해 두께를 낮추는 동안 녹수는 오히려 두께를 높이며 승부수를 띄웠다. 2007년 선보인 친환경 제품은 기존 제품보다 두 배 가량 비싸지만 친환경 수요가 크게 늘어나며 현재는 매출 중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실제 제품 자체의 고급화 뿐 아니라 영업에서도 고급화 전략을 내세웠다. 시중 LVT 제품보다 30% 가량 비싸게 가격을 책정했으며 그만큼 차별화 된 제품으로 승부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