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대놓고 활개치는 잡코인📢 9월까지 은행 실명계좌 확보 못한 거래소 사실상 폐쇄 [경제/경영] 국내 일자리 줄어들라😣 전기차 전환에 일자리 감소 문제 노동자 직무 교육 강화 방안 검토 [경제/경영] 뱃삯, 하늘 뚫었다🚢 아시아 · 미 동쪽 연일 사상 최고가 [경제/경영] 건설경기 빠르게 회복되어 공급 부족🔧 13년 만에 '철근 대란' 공포 [경제/경영] 실업급여 반복수급 줄이기 포석💸 잦은 실직과 취업으로 실업급여 반복 수급 3년 새 지급액이 두 배 이상 폭증 [경제/경영] M&A로 시장 장악한 기업들📝 5년간 20조달러 M&A 진행 기술혁신엔 소극적 [경제/경영] 오디오 콘텐츠가 뜬다🎧 SKT·애플·넷플릭스 등 잇따라 시장진출 팟캐스트 시장은 블루오션 [사회/문화] 뇌졸중 환자 팔다리 마비, 수술로 치료🧬 5년간 212건 수술로 효과 입증 [국제/관계] '2050 탄소 제로'에 필요한 소형원자로💡 미국·러시아, 세계 SMR 개발 주도 168년 역사의 리바이스, 한물 간 줄 알았던 브랜드가 다시 부활할 수 있었던 이유 (2) 리바이스의 부활은 오래된 역사를 기반으로 한 브랜드 전략만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다. 발 빠르게 온라인 쇼핑으로 전환하는 데에 성공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컨셉트의 매장을 열어 트렌디함을 반영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소셜미디어 사용이 늘어나자 틱톡을 중심으로 광고 캠페인을 실시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팬데믹 속 오히려 오프라인 매장을 열다 최근 팬데믹으로 인해 패션 업계 전반이 타격을 입은 가운데에서도 리바이스는 코로나 이전 년도와 대비 10%가 넘는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가장 타격이 심했던 채널 중 하나인 오프라인 유통채널을 철수시키는 패션 브랜드들이 크게 늘어났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리바이스는 오히려 오프라인 매장에서 돌파구를 찾기 시작했다.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시범 운영했던 컨셉 매장은 고객 경험 중심적으로 설계되어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각종 정보를 전달하는가하면 매장 한 켠에는 옷 수선실(테일러 샵)을 만들고 재단사를 고용했다. 개성을 중시하는 젊은 층들은 리바이스의 매장에서 직접 옷을 자신의 체형에 맞게 맞춤형으로 재단하고 커스터마이징하는 경험을 한다. 시범 운영을 마친 뒤에는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일본 도쿄와 중국 상하이에 매장을 여는 시도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우선 노출이 살길. 온라인 광고에 큰 투자 오프라인 매장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혁신을 거듭했다. 자체 쇼핑몰 구축보다는 광고 효과가 높은 플랫폼에 입점해 접근성을 높이는 데에 집중했고 지속적으로 브랜드를 노출시키기 위해 광고비에 높은 비용을 지불했다. 광고 효과를 톡톡히 본 리바이스는 성공적인 온라인 전환을 이뤄낼 수 있었으며 나아가 브랜드 이미지까지 재고하는 효과까지 봤다. 틱톡과의 시너지 리바이스가 팬데믹 기간 동안 집중한 것은 이뿐만이 아니다. 여느 브랜드들처럼 리바이스 역시 소셜미디어로 눈을 돌렸다. 그 중에서도 리바이스는 틱톡에 집중했다. 숏폼 영상 중심인 틱톡에서 리바이스는 청바지를 매장에서 직접 리폼하는 모습을 보여주거나 소비자들이 원하는 패턴을 레이저 프린터를 이용해 청바지에 각인시키는 모습을 보여줘 호기심을 자아냈다. 또한 틱톡의 유명 인플루언서와 함께 캠페인을 진행해 젊은 층에게 어필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