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웹툰, 글로벌 미디어 산업의 중심➕ 일본보다 앞선 K웹툰 네이버·카카오 북미 진출 가속 [경제/경영] 거대 조직을 중심으로 해커들이 많이 뭉쳐💥 해커들의 랜섬웨어 공격 범위와 피해 규모도 갈수록 커져 [경제/경영] 모든 목재가격 30% 이상 급등🌲 가구·건설업계 초비상 [경제/경영] 글로벌 노트북 시장 폭발💻 원격 교육·재택근무 등 전반적인 언택트 소비 수요가 큰 영향 [사회/문화] 정부 성향에 따라 바뀌는 교육 정책📖 자사고 소송 '전패'에도…정부 "폐지 강행" [사회/문화] 에듀테크, 교육 현장에 빠르게 침투🤖 AI 기반의 맞춤형 교육으로 학습격차 좁혀 [국제/관계] 미국, 코로나 종식에 한발 다가서다💉 미국 정부 백신 접종자들 '마스크 면제'라는 당근책 필수 화학소재 국산화 잇따라 성공하며 퀀텀점프한 동진쎄미켐 화학 소재 원천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앞장서온 동진쎄미켐(회장 이부섭)은 여러 화학 소재를 국산화하며 국내 화학 산업의 기틀을 만드는 데 일조한 회사다. 일본에서 전량 수입하던 발포제를 최초로 국산화했으며 이후에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소재(감광성 수지 등)로 진출해 퀀텀점프에 성공했다. 수입산 발포제 최초 국산화 1967년 설립된 동진쎄미켐의 전신 동진화학 공업사는 폴리에틸렌 제조사로 시작했다. 하지만 원자재 폭등으로 폴리에틸렌 사업을 지속할 수 없게되자 발포제 시장으로 눈을 돌릴 수 밖에 없었다. 발포제는 자동차 시트, 타이어, 범퍼뿐 아니라 스티로폼, 신발 밑창같은 소재를 만드는 데에 필수적인 화학 소재다. 그럼에도 당시 국내에서 사용되던 발포제 전량은 수입산이었다. 이에 동진화학 공업사의 이부섭 회장은 발포제 개발에 나서 2년 만에 국산화에 성공했다. 부도 위기 속 새로운 먹거리 찾아 국내 PVC 제조기업들부터 신발 공장까지 발포제를 납품하기 시작하면서 기반을 다지기 시작한 동진쎄미켐은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더욱 꽃을 피울 수 있었다. 중공업과 화학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여러 고객사들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포제 하나에 의존하기에는 위험부담도 컸다. 1980년대 초 발생한 석유파동은 이러한 위험에 더욱 불을 지폈다. 결국 회사는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됐고 자연스럽게 경쟁사들에게 거래처를 빼앗기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전체 매출 중 절반 이상을 수출에 의존하고 있었던 동진쎄미켐을 살리기 위해 이 회장은 직접 해외 거래처를 방문해 설득에 나섰고 발포제 사업을 정상화시키는 데에 성공한다. 이러한 위기를 계기로 동진쎄미켐은 새로운 먹거리를 찾아나서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대학원 시절 졸업 논문 주제였던 감광성 수지가 떠오른 그는 곧바로 시장 조사에 나섰다. 그가 대학원을 졸업할 당시와 비교했을 때 감광성 수지 분야는 발전을 거듭해 이미 관련 소재를 양산하고 있는 기업들이 전 세계적으로 3 곳이나 존재하던 상황이었다. 반도체 시장의 가능성을 본 이 회장은 1987년 감광성 수지 연구개발에 모든 것을 배팅했고 결국 2년 뒤인 1989년 전 세계에서 네 번째로 감광성 수지를 개발한 회사가 되었다. 감광성 수지와 관련된 연구가 전무했던 국내에서 이러한 성과를 낸 동진쎄미켐은 순식간에 화제를 모았다. 이후 1990년에 바로 납품을 시작할 수 있었다. 국내 유일의 반도체용 감광성 수지 기업으로 이름을 알리며 1994년에는 삼성전자와의 거래를 성사시켰다. 이후 국내외 굴지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하며 연 매출 9,000억원의 거대 소재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