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한국 드라마 볼 일 없을 거랬는데… 내가 빠져버렸네”🎥 드라마·영화·웹툰…K컬처의 진격 방영중인 송중기 주연 '빈센조' 넷플릭스 4월 세계 톱10에 들어 "한국 콘텐츠에 올 5600억 투자" [경제/경영] "반도체 키울 특별법 제정…R&D·시설투자 세액공제도 늘릴 것"⚖️ 핵심 전략산업 CEO 초청 경쟁력 강화방안 논의 [경제/경영] 해외 파견·출장 엘리트 코스? 요즘 직장인들 “싫다”❌ 10조 빅딜도 온라인으로 하는 세상 한국 직장인 의식이 바뀌고 있다 수출기업 300곳 조사해보니 해외업무 차질 원인 중 38%가 "직원들이 출장 기피하기 때문" [경제/경영] "수출 호조로 올 3% 중반대 성장"…접종 속도가 변수💉 올해 1분기 수출 1465억弗로 코로나 전과 비교해도 5% `쑥` 민간소비도 추경 효과 기대 역대급 가계부채는 불안요소 [경제/경영] 모든 질병체외진단기기 '선진입·후평가' 시행🔬 이르면 6월부터 전면 확대 최첨단 체외·영상진단 제품 1년 평가기간·사용기관 확대 건강보험 적용도 협의 진행 업계 "늦었지만 다행이다" [경제/경영] 코로나 충격…한식보다 양식이 더 커🍝 KDX·어데고·삼성카드 분석 외식 비중 75%에서 54%까지 감소 구체적으로 한식보다 양식,아시안 음식이 주거지역보다 상업지역이 더 커 [경제/경영] 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다시 커졌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시세 노원구 0.17%↑…지난주 2배 강남·서초·여의도·목동도 반등 서울시, 거래허가 등 규제 검토 [경제/경영] '부동산 빅브라더' 현실화되나…"정부가 임대료 기준까지 정할라"🏠 논란의 전월세신고제 강행 정부, 임대료 규제 아니라지만 與, 자금출처 신고 의무법 발의 총리 산하 감독기구 설치 추진 [사회/문화] 코로나에 먹거리 줄어…성난 변호사💢 "세무사도 우리 영역" "합격자 500명 줄여라" 작년 송사는 급감했는데 변호사 3만명…경쟁 치열 로스쿨은 "사다리 걷어차기" [국제/관계] 중국인들의 외화 빼내기 수법… 암호 화폐 동원💰 1인당 5만달러까지만 허용하는데 어떻게 '세계 부동산 쇼핑'을 할까 샐러드의 규모의 경제 이룬 스타트업 스윗밸런스 샐러드가 간식이나 식전 에피타이저 등 식사에 곁들이는 음식이 아니라 주식이 되고 있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웰빙 열풍과 함께 샐러드를 포함한 국내 신선편의 식품(과일, 채소 등) 시장의 규모는 약 1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샐러드 시장의 성장을 예견한 스타트업 스윗밸런스는 일찌감치 샐러드 생산 공장을 세워 수요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좌판에서 시작한 샐러드 사업, 작은 성공 경험을 토대로 창업에 나서 스윗밸런스는 서울대 미학과 선후배 사이이자 창업동아리에서 만난 장지만, 이운성 대표가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두 명의 공동대표는 2015년 관광지 음성가이드 앱을 개발하여 사업화에 나섰지만 실패했고 이후 샐러드 사업에 발을 들이며 스윗밸런스를 창업했다. 샐러드 사업을 시작한 계기는 단순했다. 두 사람은 창업동아리 시절 교내에 작은 좌판을 설치해 직접 만든 샐러드를 판매했는데 예상과 달리 준비한 샐러드가 완판이되며 작게나마 성공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아토피 때문에 학생 식당을 이용하지 못한다는 학생은 정기적으로 배달해줄 수 있는지 물어볼 정도였다. 당시의 기억을 떠올리며 이들은 앱 사업을 접은 뒤 본격적으로 샐러드 사업에 뛰어들었다. 둘은 2016년 서울대입구역 근처 13평 남짓한 샐러드 매장을 냈지만 초반에는 가게에 파리만 날렸다고 한다. 그럼에도 포기하지 않고 고객들과 꾸준히 소통하며 메뉴를 개선시켜나갔다. 이후 샤로수길 상권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스윗밸런스의 매출은 급성장을 이뤘다. 샐러드 특성 파악, 규모의 경제 전략 취하다 채소 값 변동이 심한 국내에서는 샐러드 사업에 대한 리스크가 큰 편이다. 국내에서 샐러드 제품의 가격이 높은 것도 이 같은 이유때문이다. 스윗밸런스는 채소 수급을 안정화하기 위해 먼저 몸집 불리기를 선택했다. 매장을 4호점까지 늘렸고 자체 공장도 세웠다. 2018년에는 헬스장 위주로 샐러드 자판기를 설치해 판매 채널을 늘렸고 매장 역시 20개까지 확대했다. 또한 공장을 늘리고 설비를 증설해 대규모로 샐러드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2019년부터는 중소 PB브랜드들의 샐러드 제조 대행과 온라인 판매도 시작했다. 지난해에는 매출 100억원을 돌파했다. 안정적인 매출처를 확보하자 스윗밸런스는 또 다시 공장 증설에 나섰고 올해 준공을 앞두고 있다. 곧 준공될 공장은 1,700평 규모로 월 500만 개의 샐러드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국내 최대 규모다. 스윗밸런스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샐러드 가격을 낮추는 데에 기여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다. 규모를 키움과 동시에 자동 생산 시스템 구축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샐러드에 들어가는 채소는 각각 무게가 달라 계량이 어려워 인력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스마트 공장을 갖춰 이를 정밀하게 자동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다면 인건비를 대폭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