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감귤 재배면적 30년 전으로 후퇴
[경제/경영] 감귤 재배면적 30년 전으로 후퇴
[경제/경영] 감귤 재배면적 30년 전으로 후퇴 [경제/경영] 반도체 수급 어려워 중고 전기차 가격 급등 [경제/경영] 민팃, 2년 만에 회수물량 14배↑ [경제/경영] 스타트업 대상 벤처 투자 확대 [경제/경영] 핀테크 산업 전망 6가지 [경제/경영] 통계청 ‘가맹점 조사 결과’ [경제/경영] 구글·메타·넷플릭스 등 6개 빅테크가 독점 [경제/경영] 구글·메타·넷플릭스 등 6개 빅테크가 독점 [경제/경영] 프랜차이즈 매장 수는 오히려 늘었다 [경제/경영] 프랜차이즈 매장 수는 오히려 늘었다 [사회/문화] 성인 절반 “코로나 후 체중 3㎏ 이상 늘어” [사회/문화] 성인 절반 “코로나 후 체중 3㎏ 이상 늘어” [사회/문화] 고속鐵에 밀리고 코로나에 치인 터미널 [사회/문화] 급물살 타는 원격의료 [사회/문화] 급물살 타는 원격의료 [사회/문화] 한국의 집값 상승률 레미콘 1위 유진기업, 정체된 레미콘 시장 속 건자재 유통으로 도약 유진그룹의 계열사 유진기업은 레미콘 업계 1위로 잘 알려져있다. 그런 유진기업이 최근 건자재 유통에서 높은 실적을 기록 중이다. 유진기업은 전체 매출 1조원 중 30% 이상이 레미콘이 아닌 건자재 유통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 계열사 전체에 시너지 유진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된 건자재 유통은 9년 전 철근 하나로 시작됐다. 2013년 건자재 유통 사업에서 발생한 매출은 총 114억원, 현재는 3,500억원으로 증가하며 높은 성장폭을 보여줬다. 이는 다른 계열사에도 영향을 주며 그룹 내 건자재 유통 사업의 매출 상승에도 기여했다. 레미콘이 주력사업이던 당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선택한 부업이 현재는 기업 전체를 지탱하는 한 축으로 성장한 셈이다. 레미콘 1위 유지에도 새로운 성장도약을 위해 유진기업이 건자재 유통 사업에서 성공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레미콘 사업에서의 노하우가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유진그룹의 유경선 회장은 미국의 홈디포, 일본의 릭실 등 건자재 유통 기업의 성공 사례를 보며 건자재 유통 사업 진출을 단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임직원들은 레미콘 사업 유지도 어려운 상황 속에서 다른 분야까지 신경쓰기 어려울 것이라며 거세게 반발했다. 하지만 유 회장은 유진기업이 주력하던 레미콘 사업과도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밀어붙였다. 그의 판단대로 유진기업과 거래해온 기업들은 레미콘과 건자재를 함께 구매하기 시작했다. 원가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거기에 국내에서는 리모델링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건자재에 대한 수요도 크게 늘었다. 국내 최대 전문 인력, 대응책도 미리 마련 건자재 유통 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해 인력 보충에 공을 들인 것도 지금의 결과를 내는 데에 기여했다. 150여 명의 품목별 전문가를 영입하고 유통 전문 인재를 꾸준히 육성했다. 원자재 단가가 들쭉날쭉한 철강 특성 상 꾸준히 관련 이슈에 대해 인지하고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일찌감치 시장 흐름을 파악하고 있던 유진기업은 곧바로 기회를 잡을 수 있었다. 올 초 중국이 철강을 수출 금지 품목으로 지정하면서부터다. 이에 따라 국내 철강 제조사들이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자 건설 현장을 그야말로 아수라장이 됐다. 유진기업은 미리 이러한 사태를 예상하고 거래처들의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대비해둔 것으로 알려졌다. 그 결과 건자재 유통 부문의 매출은 지난 해보다 40% 이상 증가할 수 있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