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긱 이코노미(Gig Economy)`의 비상 [경제/경영] 1인당 국가부채 2천만원 돌파 [경제/경영] 역대 정부중 가장 빠르게 증가 [경제/경영] 삼성전자·LG전자의 양강체제 [경제/경영] 국민의 국가채무 부담 가중 [경제/경영] 출퇴근 산재 인정 1만건 넘어 [경제/경영] 연 1700만대 → 2500만대 생산 [경제/경영] 생존률·IPO 일반창업
보다 높아 [경제/경영] 민간 투자형 소프트웨어(SW) 사업 8개월째 발주 없어 [경제/경영] 전기차의 택시시장 공략 [경제/경영] 석탄
발전량 30% 넘게
폭증 [경제/경영] 서울시 전기차·충전기 확대 [경제/경영] 유럽 임대료 증가로 몸살 [경제/경영] 유럽 임대료 증가로 몸살 [경제/경영] E커머스 시장, 해외직구 경쟁 [사회/문화] 코로나 장기화로 외국인 인력 쟁탈전 [사회/문화] 가까운 곳에서 찾은 장애인 학대범 [사회/문화] 휠라 이익 폭발, 본업은 부진 [사회/문화] ICT 시장 대세 '온라인플랫폼' [정치/행정] 30년간 성장률 추락 시장이 열릴 것이라는 확신과 끈기로 만들어낸 10조 납품계약. 에코프로비엠의 성공 비결 에코프로비엠이 SK이노베이션과 10조 1,100억원에 달하는 납품 계약을 따내 장안의 화제다. 2차전지 양극 소재를 전문으로 제조하는 중견기업 에코프로비엠은 10년 간 적자를 면치 못하다가 이번 수주로 단박에 연 1조원이 넘는 매출을 내는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잘나가던 회계사, 돌연 창업 도전 에코프로비엠을 설립한 이동채 회장은 남다른 이력을 가지고 있다. 상업고를 졸업해 은행원으로 첫 사회생활을 했지만 학력이 그의 발못을 잡았다. 낮에는 일을 하고 밤에는 대학을 다니면서 대학 졸업장을 땄지만 학력 인정 규정에 의해 퇴사를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후 삼성그룹에 입사하기도 했으나 과중된 업무로 직업을 전환하게 됐다. 공인회계사 자격증을 따 6년 간 회계사로 활동한 그는 당시 기준으로 성공한 회계사의 길을 걷고 있었다. 그러다 돌연 창업을 결심하고 모피사업에 나섰지만 결과는 실패였다. 그렇게 두번째로 시작한 것이 소재 사업이다. 돌연 소재 사업으로 눈을 돌린 계기는 단순했다. 1997년 교토의정서가 체결되는 것을 보고 지구온난화에 대한 이슈가 점점 강조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이다. 지구온난화를 늦추기 위해 온실가스를 절감하는 목표가 산업 전반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이 회장은 판단했다. 그렇게 10평짜리 사무실에서 시작해 지금에 이르른 것이다. 대기업에서는 하지 않던 양극재 소재에서 가능성 본 뒤, 10년 기다려 하지만 소재 사업 역시 처음엔 쉽지 않았다. 설비는 구매했지만 생산을 하지 못해 그대로 투자금을 날려야 했고 개발에 실패하는 일도 부지기수였다. 계속된 실패에도 그의 의지는 꺾이지 않았다. 연구원들을 설득하고 제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러던 중 2004년 양극재를 개발해보라는 제안이 들어와 양극재 사업에 뛰어들게 된 것이다. 지금은 전기차를 비롯 다방면에서 2차전지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높지만 당시에는 양극재를 사용하는 배터리 수요가 적어 대기업에서는 수익성을 이유로 뛰어들지 않는 시장이었다. 에코프로비엠의 이번 10조원 규모의 계약은 시장이 열릴 것이라는 확신과 끈기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