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글로벌 ‘내연기관차 종식’ 가속화
[경제/경영] 글로벌 ‘내연기관차 종식’ 가속화
[경제/경영] 코로나로 재택근무 “일보다 가정 우선” [경제/경영] 종부세 대상자, 법인 포함해 76만명 [경제/경영] 종부세 대상자, 법인 포함해 76만명 [경제/경영] 가구 부채 증가 [경제/경영] 가구 부채 증가 [경제/경영] 국내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 [경제/경영] 서울 중대형 상가 평균 공실률은 9.7% [경제/경영] 제약·바이오 관련 세계 중심이 된 K바이오 [경제/경영] 플랫폼 노동, 배달·배송·운전 업무가 큰 비중 차지 [경제/경영] 80년대생 임원들 [사회/문화] 위기의 가정어린이집 [사회/문화] 위기의 가정어린이집 [국제/관계] 가난해진 '세계 3위 경제대국’ 日 [국제/관계] 가난해진 '세계 3위 경제대국’ 日 [국제/관계] 가난해진 '세계 3위 경제대국’ 日 [국제/관계] ‘시장 점유율 끌어올리기’ 재시동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위조품,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로 해결한다. 마크비전 온라인 쇼핑이 확대되면서 위조품 문제도 꾸준히 불거져오고 있다. 세계무역기구(WTO)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적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유통되는 가품은 8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중 10%에 맞먹는 규모다. 기존 수작업을 소프트웨어로 이러한 위조품 문제를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으로 해결한 국내 스타트업이 화제다. 마크비전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온라인의 위조 상품을 모니터링하는 스타트업이다. 2019년 설립된 뒤 미국 와이콤비네이터, 일본 소프트뱅크 등 유명 벤처투자사로부터 6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마크비전같은 위조품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기존에도 존재했었다. 하지만 수동 작업이 대부분이다. 사람들이 일일이 위조품을 판별하고 골라내야하다보니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수 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브랜드 사들은 위조품 문제를 손 놓고 바라볼 수 밖에 없던 구조였던 것이다. 마크비전은 인공지능을 통해 정확도를 높이는 한편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자동화했다. 딥러닝 기반으로 이미지를 인식하고 데이터를 분석한 뒤 신고까지 자동적으로 처리된다. 이미지 도용의 경우 리뷰나 상품 설명, 가격, 셀러에 대한 정보를 비교해 위조품 여부를 판별하는 식이다. 브랜드를 넘어 무형의 자산까지, IP관리의 중요성을 알린다 마크비전이 제공하고 있는 솔루션은 기존의 방법보다 약 50배 가량 빠르다. 2020년 7월 서비스를 런칭하고 명품브랜드, 캐릭터,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객사를 확보했다. 랄프로렌, 라코스테 같은 유명 브랜드들이 대표적인 고객사다. 마크비전은 고객사들이 제품을 유통하고 있는 이커머스 플랫폼들을 모니터링하고 위조품을 발견하여 신고한다. 아마존, 알리바바, 티몰,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 20개가 넘는 이커머스 플랫폼을 모니터링한다. 이커머스 플랫폼뿐만 아니라 인스타그램 공구채널 등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마크비전이 다음 타겟으로 공략할 분야는 콘텐츠 IP분야다. 방송, 게임, 웹툰 등 무형 자산에 대한 불법 유통, 위조를 잡아내 체계적으로 IP를 보호하는 시스템을 갖추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전문인력뿐 아니라 지식재산권 전문인력까지 갖추며 시동을 걸고 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