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출생아는 줄고 사망자는 늘어… 역대 최저치
SEMI '글로벌 팹 전망 보고서' 발표 지난해 85곳 중 21곳이 ‘1억 클럽’ 지난해 85곳 중 21곳이 ‘1억 클럽’ 올해 공시가 평균 17% 상승 올해 공시가 평균 17% 상승 개발자 평균연봉 5700만원 세계는 자원전쟁 세계는 자원전쟁 락토핏·아이클리어 등 연간 생산능력 1조원대로 늘어 더 많은 통계는 앱에서 보기
국내 1호 토종 CRO 기업 씨엔알리서치의 글로벌 기업 도약기 통상적으로 제약사에서 약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임상 3상까지 거쳐야 한다. 이를 위해 제약사들은 임상시험을 수탁하는 경우가 흔하다. 1997년 설립된 씨엔알리서치는 국내 최초의 임상시험수탁기관(CRO, Clinical Research Organization)으로 20여 년 간 제약사들의 신약 개발을 지원했다. 현재는 국내 임상시험수탁기관 1위 기업으로 성장해 432억원의 연 매출을 내고 있다. 틈새시장에서 사업의 기회를 엿보다 1997년 씨엔알리서치를 창업한 윤문태 회장은 옛 LG화학 출신으로 창업 이전부터 임상시험 설계에 집중해왔다. 당시 제약사들은 신약 후보물질을 찾는 것에만 집중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신약 개발에 필수적인 임상시험 과정을 설계하는 데에 있어 난관에 봉착할 수 밖에 없었다. 윤 대표는 LG화학에 근무하던 중 임상시험의 전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으려 노력했지만 비임상시험기준이 없어 수의대 교수를 따라다니며 독성시험을 했다고 한다. 이처럼 당시 한국의 임상시험 설계는 주먹구구식이었고 윤 대표는 이를 표준화하는 사업을 생각하게 되면서 창업에 뛰어들었다. 임상시험 설계 표준화를 위한 팀을 만들어 전문인재 육성과 역량 개발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이 전략은 현재 연 매출 400억원의 강소기업으로 발판이 됐다. 해외 고객사들을 통해 쌓은 레퍼런스 당시 국내에는 임상시험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제약사가 드물었고 대체로 해외 약품을 그대로 카피해 판매하는 수준에 머물러 임상시험 자체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씨엔알리서치는 해외로 눈을 돌려 글로벌 업체를 첫 고객으로 사업을 시작할 수 밖에 없었다. 시간이 흘러 국내 제약사들도 신약 개발사업을 시작했고 자연히 레퍼런스가 많은 씨엔알리서치를 찾게 되었으며 여러 토종 제약사들과 씨엔알리서치는 국내 신약 개발 산업의 성장 궤도를 함께 하게 되었다. 신약 하나를 개발하는데에 들어가는 시간은 평균 14년, 비용은 자그마치 2조원에 달한다. 그 중 절반 가량의 시간과 비용을 임상에 투입하는 만큼 임상시험은 신약개발과 상용화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씨엔알리서치는 계속해서 임상에 집중했고 국내 1호 CRO 기업이자 1위 CRO 기업으로 성장했다. 항암 시장 육성을 위한 투자를 하다 항암은 전체 임상 시장의 30%를 차지하는 분야로 씨엔알리서치는 일찌감치 항암 임상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해왔다. 창업 당시 임상 설계 표준화를 담당하는 전담팀을 만들었던 것 처럼 2009년 항암 전담팀을 만들었고 이에 그치지 않고 식약처 공식 임상교육기관 'C&R ACADEMY'를 만들어 2천명이 넘는 항암 임상 인재도 육성했다. 인재가 없다면 직접 육성하는 방식으로 항암 임상 사업을 준비해 각종 항암제 임상 약 170건을 수행했다. 국가항암신약개발 사업단 파트너로 선정되는 등 국내 권위있는 기관에서 씨엔알리서치의 항암 임상을 최고로 평가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 진입하다 윤 대표는 국내 1위 CRO 기업에 만족하지 않고 해외진출도 꾀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코스닥 상장해 자금 조달을 원활히 하며 로컬 CRO가 아닌 글로벌 CRO로 성장하기 위한 틀을 다졌다. 또한 미국 WRRS사와 MOU를 체결하며 글로벌 임상 수행도 본격화하고 있다. 임상 표준이 없던 국내에서 1호이자 1위 기업으로 성공한 기업인만큼 글로벌 CRO 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업계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 ![]()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