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카카오그룹 ‘시총 100조 클럽’ 진입
[경제/경영] 전경련, 증권 리서치센터장들 조사
[경제/경영] 전경련, 증권 리서치센터장들 조사 [경제/경영] 전경련, 증권 리서치센터장들 조사 [경제/경영] 재취업 희망 임금 월 272만원 [경제/경영] 카카오톡 플랫폼과 네트워크 효과 통한 시너지 발산 [경제/경영] 카카오게임즈 매출 209% 늘어 4662억원 [경제/경영] 中 15년간 520조투자 호재 [경제/경영] ‘생내장’, ‘뒤쿵’ 등 보험사기 지능화 [경제/경영] 사면초가에 빠진 소셜미디어 [경제/경영] 사면초가에 빠진 소셜미디어 [경제/경영] 사면초가에 빠진 소셜미디어 [사회/문화] 부동산 외국인 거래는 활발 [정치/행정] 11월 여론조사 요동치는 민심 [정치/행정] 11월 여론조사 요동치는 민심 [국제/관계] 중국 핵탄두, 2030년 1000개 [국제/관계] 중국 핵탄두, 2030년 1000개 [국제/관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리더십 위기’ 직면 핸드백 제조 글로벌 1위, 히든챔피언 시몬느 (1) 창업스토리 세계 1위 핸드백 제조사가 한국 기업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핸드백 제조 시장점유율 10%, 연 매출 1조원. 1987년 설립된 시몬느가 세운 기록이다. 핸드백 수출하며 핸드백 시장에 눈뜨다 시몬느를 창업한 박은관 회장은 어린 시절부터 해외에 관심이 많았다. 해외여행을 자유롭게 할 수 없었던 시절, 그가 선택한 길은 무역회사에 들어가는 것. 한국의 한 핸드백 수출업체에 입사한 그는 일에 몰두하며 30세의 나이에 수출부장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중소기업이었던 해당 업체는 국내 1위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그러던 중 한 바이어의 제안으로 1987년 창업에 도전했다. 한국 기업이 외국어로 사명을 사용하는 것이 흔하지 않던 시절, 시몬느라는 이름을 사명으로 사용하게 된 것은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시몬느는 독일어로 ‘당신’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박 회장이 지금의 아내와 연애하던 시절 애칭이기도 하다. 한국에선 생소했던 고급 핸드백 시장 박 회장이 다녔던 기업은 중저가 핸드백을 주로 다루고 있었다. 그는 고급 핸드백 시장을 정조준했다. 당시 한국에서는 고가 핸드백 제조기업이 전무한 상황이었다. 주위의 우려섞인 목소리도 나왔다. 당시 한국의 봉제산업은 저무는 분위기였기 때문이다.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서 중공업으로 산업이 크게 뒤바뀌고 있던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박 회장은 럭셔리, 명품 핸드백 시장의 가능성을 높게 봤다. 메이드 인 이탈리아를 뛰어넘어라 시몬느를 창업한 후 곧장 뉴욕으로 건너간 그는 당시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브랜드 중 하나였던 도나카란뉴욕에 한국의 장인들과 만든 핸드백을 들고 가 제안을 했다. 이탈리아 제품만큼과 비교해 30% 정도 저렴한 비용에 높은 완성도까지 갖추고 있었지만 메이드 인 이탈리아라는 브랜드 가치가 걸림돌이었다. 박 회장의 끈질긴 제안 끝에 도나카란은 240개에 대한 생산을 발주했다. 그 이후 매년 주문 수량이 늘어나자 도나카란이 공장을 옮겼다는 소문이 돌았고 경쟁사들의 주문이 쇄도하기 시작했다. 당시 거래를 시작한 기업들 대부분은 아직도 시몬느와 거래를 하고 있다. 도나카란은 자그마치 33년 간 거래를 이어오고 있다. 현재 미국 시장점유율은 30%에 육박한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