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외국인직접투자, 올들어 9월까지 182억달러
[경제/경영] 카카오모빌리티 택시호출 알고리즘 자료 확보
[경제/경영] 카카오모빌리티 택시호출 알고리즘 자료 확보 [경제/경영] 3분기 예상보다 낮은 0.3% 성장 [경제/경영] 국내에 커넥티드 카는 463만 대 [경제/경영] '2050 탄소중립' 급가속 [경제/경영] 누적 순이익, 지난해 규모 넘어 [경제/경영] 누적 순이익, 지난해 규모 넘어 [경제/경영] 지난해 기준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 18.9% [경제/경영] 빅4 올해 신입 1200명 채용 [경제/경영] 빅4 올해 신입 1200명 채용 [경제/경영] 탈원전 고집하는 탄소중립, 현실성 있나 [사회/문화] 취업난에 부담 커지는 구직자들 [사회/문화] 취업난에 부담 커지는 구직자들 [정치/행정] 헌법 업그레이드할 때 됐다 [정치/행정] 헌법 업그레이드할 때 됐다 [정치/행정] 헌법 업그레이드할 때 됐다 [정치/행정] 예비비 ‘비상금’ 10조원 검토해야 2000년대 초부터 가상화에 주력한 나무기술, 토종 기술로 글로벌 시장 전방위 조준 클라우드 전문기업 나무기술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주력제품인 가상화 솔루션 나무 클라우드 센터와 플랫폼 칵테일 클라우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부터다. 가상화 한 우물 20년 2001년 설립된 나무기술은 2003년부터 당시 생소한 기술이었던 가상화 기술을 시작으로 몸집을 불려온 회사다. 이론으로 존재했던 클라우드 시장에 본격화되면서 빠르게 성장했다. 그렇게 20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관련 기술에 매진해오면서 몇몇 서비스는 부동의 업계 1위로 자리매김했다. 가상화 및 클라우드 서비스뿐 아니라 5G 통신, 빅데이터, 인공지능 분야에서도 사업분야를 확장해나가고 있다. 시장이 확대되면서 매출도 자연스럽게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2015년 320억원 수준이었던 매출은 지난해 1,000억원을 기록하며 고공 성장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제를 도입하는 기업, 공공기관이 늘면서 앞으로의 매출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나무기술의 고객사는 삼성전자, 카카오 뱅크, 신한은행, SK네트웍스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과 정부기관 들이다. 약 120여 곳의 고객사에 가상화 솔루션을 제공 중이다. 전체 매출 중 25%는 주요 고객사들의 유지보수 계약을 통해 발생하고 있다. 제품다각화, 해외 진출로 100년 기업 발판 만들겠다 나무기술은 기업과 기관에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필요한 서비스를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PaaS(Platform as a service) 형태로 영업을 하고 있다.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인프라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IaaS(Infrastructure as s service), ERP이나 CRM 등으로 흔히 알려진 SaaS(Service as a service)도 제공한다. 이를 원 패키지 상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도 나무기술의 장점이다. 기업이나 기관에서는 최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개발환경에서 호환성이 좋은 소프트웨어를 원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이미 월등한 선두주자지만 해외에서는 갈 길이 멀다. 기술력은 이미 글로벌 수준이지만 해외 영업에서 소극적이었던 탓이다. 본격적인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해외 법인을 설립하고 올 초 세계적인 IT박람회인 CES에도 참여했다. 제품 다각화와 해외 진출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고 3년 안에 시가총액 3배 이상을 달성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