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금'도 금고도 2배 넘게 팔려 [경제/경영] '금'도 금고도 2배 넘게 팔려 [경제/경영] '금'도 금고도 2배 넘게 팔려 [경제/경영] 택배사들, 풀필먼트 서비스 경쟁 [경제/경영] 택배사들, 풀필먼트 서비스 경쟁 [경제/경영] 한국, OECD 37개국 중 상대 빈곤율 4번째 [경제/경영] 통계청 발표로 밝혀진 文정부의 고용 실체 [경제/경영] 특허 괴물 먹잇감 된 삼성전자 [경제/경영] 한국 연간 경제성장률 4% 달성에 경고등 [경제/경영] 8월까지 재택근무 114만명, 2년새 12배 폭증 [경제/경영] 8월까지 재택근무 114만명, 2년새 12배 폭증 [경제/경영] 테슬라 시총 1조달러 돌파 [경제/경영] 비정규직 근로자 800만명 [사회/문화] 서울비전2030·청년정책 확대 [사회/문화] 스카이에듀, 수능때까지만 운영 [사회/문화] 코로나19 사회적 고립 한층 더 심화시켜 [사회/문화] 코로나19 사회적 고립 한층 더 심화시켜 [정치/행정] ‘2050 탄소중립’ 또 다른 급소 [정치/행정] ‘2050 탄소중립’ 또 다른 급소 [정치/행정] ‘2050 탄소중립’ 또 다른 급소 캠스터디로 시작해 교육 특화 국민 화상서비스로. 구루미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비대면 화상회의가 일상이 되면서 줌, 슬랙, 호핀 등의 플랫폼들의 실적이 고공상승했다. 이 가운데 국내에서는 구루미가 대표적인 화상회의 앱으로 떠오르고 있다. 캠스터디에서 얻은 노하우 구루미는 교육에 특화된 화상회의 서비스다. 구루미의 탄생 이전에는 구루미 캠스터디가 있었다. 2017년 캠으로 공부하는 모습을 공유하는 이른바 캠스터디 서비스를 내놓아 30만 명의 이용자를 확보한 바 있다. 구루미의 이랑혁 대표는 당시 신기술이었던 웹 실시간통신기술을 도입해 화상 솔루션을 출시했다. 그런데 이용자들이 화상 화면을 켜놓고 공부를 하는 자신을 송출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용자들 간에 대화는 일절 없다. 이용자들은 함께 공부하며 공부에 더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캠스터디에 참여한다고 말했다. 이에 이 대표는 캠스터디 서비스에 적합한 기능들을 추가하며 많은 수의 이용자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후 구루미 캠스터디는 온라인 독서실 플랫폼 서비스로 확장했다. 신규 서비스 런칭하자마자 코로나19 구루미 캠스터디를 운영하며 생긴 노하우로 만든 것이 2019년 런칭한 구루미비즈다. 공공기관과 교육기관을 타깃으로 만들어진 구루미비즈는 기업형 소프트웨어 SaaS로 개발되어 런칭한지 3개월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순식간에 많은 수의 고객사를 확보할 수 있었다. 국세청, 경찰청,산자부, 법무부 등 다양한 공공기관이 구루미를 도입했고 1,000만원이었던 월 매출은 3억원으로 껑충뛰어올랐다. 올 한 해만 100억원의 매출을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찌감치 클라우드 도입, 교육 특화로 타겟전략 먹혀들어 구루미가 일찌감치 공공기관과 교육기관으로부터 선택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첫번째가 클라우드 기반이라는 점이고 두번째는 교육에 특화되어있다는 점 때문이다. 구루미는 MS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MS클라우드 서비스를 일찍이 도입할 수 있었다. 지금은 아마존의 AWS와도 인연을 이어나가고 있다. 줌과는 다르게 교육에 특화된 여러 기능들을 선보이며 교육부와 전국 학교들의 선택도 받았다. 예컨대 자동 출석체크 기능이나 실시간 쪽지시험같은 것들이 대표 기능이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