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비즈니스 뉴스레터 지식비타민 [경제/경영]
식어가는 성장 엔진 50년 만에 첫 마이너스
[경제/경영] 식어가는 성장 엔진 50년 만에 첫 마이너스
[경제/경영] 내년 석유 수요 팬데믹 넘어설듯 [경제/경영] 빚에 갇힌 자영업자, 취업자 중 비중 최저 [경제/경영] 2분기 매출 역대 최고 증가세 [경제/경영] 실질 집값 1.7% 상승? [경제/경영] 취업자 수 6개월째 증가 [경제/경영] 한국부동산원 가격동향 [경제/경영] 벼랑 끝의 자영업자 [경제/경영] 벼랑 끝의 자영업자 [경제/경영] 네이버, 클라우드 사업 글로벌 전략 공개 [경제/경영] ‘유럽 반도체법’ 만들어 생산 지원 [사회/문화] '인앱결제 금지법' 첫 시행 [정치/행정] 남북 문제에 엇갈리는 20・40대 [정치/행정] 남북 문제에 엇갈리는 20・40대 [정치/행정] 남북 문제에 엇갈리는 20・40대 [정치/행정] 남북 문제에 엇갈리는 20・40대 [정치/행정] 남북 문제에 엇갈리는 20・40대 리사이클링 섬유 한 우물 판 건백, 친환경 바람에 매출 급 상승 국내 섬유산업은 중국의 저가 공세에 밀려 사양산업으로 손꼽히는 분야 중 하나다. 이러한 섬유산업에서 최근 버려지는 페트병 등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만든 섬유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업이 있다. 바로 경산에 위치한 건백이다. 40여 년 역사의 소재 기업 건백은 이미 오래 전부터 리사이클 섬유를 생산해왔다. 1975년 설립된 건백은 리사이클 폴리에스터 섬유를 주력상품으로 40여 년 간 한 우물을 판 기업이다. 건백의 창립자 고(故) 박종계 회장은 70년대 대기업이 생산하는 폴리에스터의 부산물을 재활용해 폴리에스터 장섬유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성공하면서 건백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1980년대에 더 활용도가 높은 단섬유 제품을 생산하면서 폐페트병을 원자재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기술력을 통해 한계점 극복 장섬유를 주로 생산하는 대기업들은 원자재인 폐페트병을 수입하는 데에 반해 건백은 100% 국내에서 수집한 폐페트병을 사용한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폐페트병은 순도가 낮아 폴리에스터 섬유로 재활용되기 어려우나 건백은 자체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개발한 고효율 여과 과정을 통해 이를 해결했다. 여과에 대한 기술력뿐 아니라 기능성 섬유를 만들 수 있는 기술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건축용, 산업용을 비롯해 침구류, 의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섬유를 생산해내고 있다. 특히 의류 분야에서는 오리털의 대안 소재로 떠오르며 친환경 충전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게다가 원자재 단가가 낮다보니 다른 소재와 비교해 가격경쟁력까지 갖췄다. 품질만큼은 자신있어 친환경에 대한 이슈가 전 세계적으로 뜨거워지면서 건백은 가파른 성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연 매출은 200억원 수준이다. 특히 생산량의 80% 이상이 수출되고 있다. 2018년에는 생산시설 구축에 80억원을 투자했다. 중국산 제품과의 경쟁에서 품질만큼은 밀리지 않기 위한 조치다. 품질을 강조하기 위해 네덜란드의 국제 재활용 섬유 표준인 GRS(Global Recycle Standard) 인증까지 받았다. GRS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재활용된 섬유 생산물의 차원을 넘어 원자재 수급부터 생산 방식까지 엄격한 심사를 거쳐 검증해야한다. 유럽에서는 이미 여러 업종에서 GRS 인증 원료의 비율을 30% 이상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아시아비즈니스동맹(주) knowledge_vitamin@nav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유니온센터) 810호 02-562-6578 수신거부 Unsubscribe |
통계뱅크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 입니다.